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연구논문] 김교신의 민족교육과 기독교

The National Education and Christianity of Kyo-Shin Kim

  • 35

기독교 인물 연구에서 김교신은 크게 주목되는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는 일제 강점기를 살았던 한 기독교 지식인이 어떻게 자신의 신앙을 민족에 대한 사랑과 헌신으로 구현시켰는가를 사상과 행동으로 보여 주고 있으며, 그것이 한국 역사와 교회사에 끼친 영향과 의미는 매우 크다. 그는 당대 기독교의 교권 추구에 대항해서 일평생 평신도 지도자로 활동하였으며, 민족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도 교회 유지와 부흥에 전념하던 교회 지도자들과는 달리 조선 민족 전체를 아우르는 민족교육을 전개하였다. 이런 점에서 그의 삶과 활동은 기독교 정신을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실천한 중요한 실례로 평가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일제 강점기에 전개되었던 민족교육의 역사와 그에 대한 기독교 의 영향을 밝히려는 목적으로, 김교신의 교육활동이 전개되었던 사상적, 시대적 맥락을 정리하고 (Ⅱ장), 김교신의 교육사상을 민족의식, 역사의식, 민중의식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Ⅲ장), 그의 교육 방법을 살핌으로써 (Ⅳ장), 김교신의 사상과 교육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였다 (V장).

In a theological and historical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biography and thought of a person Kyo-Shin Kim is regarded as an important example. By his life and action he showed how a Christian intellectual embodied his belief into the devotion to the suffering nation. It has been significant for the Korean history as well as in the Korean church history. He acted as a lay leader, stood against the hegemonic group of the church that strived exclusively for the ecclesiastical authority. And he was devoted to the education of the whole nation in the critical distance from the church leaders who were interested in the maintenance and growth of the local church, regardless of the very crises of the nation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domination. In this sense his life and action could be evaluated as an unforgettable instance for receiving the Christian thought and bringing it into practice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ivity. In the framework of investigating historically the influences of the Christianity upon the national education I analyze the intellectual and historical background, behind which Kyo-Shin Kim played his own role in the first step(Chapter Ⅱ). In the second step I analyze three points of his education thought : national consciousness,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minjung-consciousness(Chapter Ⅲ). In the third step I see into his education methods(Chapter Ⅳ). And in the last step I attempt to evaluate his education activities from his own Christian thought (Chapter V).

초록

1. 머리말

2. 일제하 민족교육의 전개와 한국 교회

3. 김교신의 민족교육 사상의 이해

4. 김교신의 민족교육 방법론

5. 마침표 : 김교신의 사상과 교육에 대한 평가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