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553.jpg
학술대회자료

정원디자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현황분석

  • 69

최근 정원분야에도 ICT와 IoT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시스템들이 개발되면서 어플리케이션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ㆍ외에 개발되어있는 정원디자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현황을 파악하고, 정원디자인 프로그램에 필요한 콘텐츠를 추출하여 차후 정원디자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현황조사는 2017년 10월에 Google Play App Market에 등록된 국내ㆍ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중 한국어 또는 영어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1개소, 국외 17개소 정원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의 경우 농진청에서 개발한 ‘실내정원꾸미기’가 유일하였으며, 국외의 경우 실제공간 기반의 정원디자인 어플리케이션(7개소), 가상공간 기반의 정원디자인 어플리케이션(3개 소), 정원디자인 및 조성가이드북(7개소)이 개발되어 있었다. 정원디자인 프로그램은 크게 3가지 카테고리(디자인 구현방식, 지식정보제공, 시공 및 활용)로 구성되어 있었다. 국내ㆍ외 전체 18개소의 프로그램 중 지식정보가 포함된 경우는 총 16개소(조성가이드․ 이미지 9개소, 식물기본정보 4개소, 식물관리 7개소), 시공 및 활용이 포함된 것은 총 6개소(시공리스트 3개소, 예상견적서 2개소, 구매처연결 1개소, 커뮤니티연계 1개소)로 정원조성의 기본원리나 식물 정보는 비교적 풍부하게 제시되어 있었으나, 정원디자인을 위한 정보 혹은 시공 및 활용으로의 연결성은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다수의 프로그램이 일방형으로 정보를 제공할 뿐, 개발자 혹은 전문가를 통한 상호 간의 피드백 시스템이 구현되지 않고 있었으며, 시공리스트ㆍ 예상견적서ㆍ구매처연결 등 실제 활용 부분 역시 부족한 실정이었다. 디자인요소로서 식재 콘텐츠를 분석(11개소 프로그램 대상)한 결과 식재컨텐츠는 크게 2가지 카테고리(디자인 인터페이스, 식물정보)로 구성되어 있었다. 식재디자인 인터페이스는 식물의 표현방법(디자인, 수종 구분)과 식물의 분류방법(성상별, 형태별, 생육특성별, 기타)으 로 구분되어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식물정보는 식물특성, 재배 및 수확시기, 관리법(관수ㆍ비료 ㆍ병해충)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국내 실내정원 프로그램의 경우, 총 70종의 실내식물 입면디자인이 수종별로 디자인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고 있었으며, 식물특성 및 관리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국외의 경우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식물디자인(평면 5개소, 입면 4개소, 3D 2개소)를 제공하고 있는 반면, 전체 10개소 프로그램 중 3개소만이 수종을 구분(수종 미구분 3개소, 일부만 구분 4개소)하여 디자인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고 있었다. 식물의 분류방법에 있어서는 성상별 구분(6개소) 기준이 가장 많았으며, 식물정보 부분에서는 일부 프로그램에서 식물 특성(2개소), 재배 및 수확시기(1개소), 관리법(2개소)을 제공하고 있었다. 정원디자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조사 및 분석 결과 현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정원 및 식물정보를 담은 프로그램이 전무한 실정이므로 우리나라의 환경에 맞는 정원을 구상ㆍ관리ㆍ시공 및 활용할 수 있고 수요ㆍ공급 양방향 소통체계를 갖춘 종합적인 국내 정원 어플리케이션 개발 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