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8595.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고전소설의 영상콘텐츠화 성공방안 연구

A study on success ways about films contents of Korean classical novels - Focus on movie Woochi and the Servant -

  • 294

영화 〈전우치〉와 〈방자전〉은 한국고전소설의 영상화 가능성의 두 가지 실례를 적절하게 보여준 대표적 사례이다. 고전소설 〈전우치전〉이 그동안 영상콘텐츠로서 외면받을 수밖에 없었던 가장 큰 요인 중의 하나는 에피소드식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데 있다. 결국 영화 〈전우치〉는 고전소설 〈전우치전〉의 모든 구조를 새롭게 재창조함으로써 영상화에 성공한다. 이러한 영화 〈전우치〉의 영상화 사례는 에피소드식이나 단편적인 이야기의 나열에 머물러 있는 다수의 한국 고전소설을 영상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구조의 재편성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전우치전〉과 달리 〈춘향전〉은 대중들이 원하는 잘 짜여진 구조를 가지고 있는 작품이다. 따라서 기존 〈춘향전〉의 영상화 전략은 원전과 같은 이야기구조 아래 인물이나 배경의 변화를 통해 원전과 다른 새로움을 대중들에게 주고자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반면 영화 〈방자전〉은 원전과 동일한 구조 아래 인물의 역할교환이라는 또 다른 전략을 취한다. 이러한 전략은 〈춘향전〉이 다 아는 이야기라는 대중들의 식상함을 벗어나기 위한 좀 더 적극적인 방식이다. 이상 〈전우치〉와 〈방자전〉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대로 한국고전소설의 영상콘텐츠화의 성공 유무는 소재적 측면에 있지 않고 구조적 문제와 그 구조가 만들어내는 의미 작용에 있음을 알 수 있다.

Movie Woochi and the Servant is a two powerful example of which showed possibility of make a Korean classical novels into a film. Korean films turn down classical novels jeonWoochijeon as films contents all the while. because that has a episode in structure. After all, movie Woochi is to succeed classical novels into a film as reinvention of structure. Like the jeonWoochijeon most Korean classical novels make up episode structure. So, success of classical novels into a film the need to restructure. In contrast, Chunhyangjeon is most popular a literary work which have a near-perfect structure. Therefore previous make a movie of strategic of Chunhyangjeon interpret the original text from a new angle changes in character or background. And in this changes is possible to supposing isomorphic of original text. On the other hand, movie the Servant has taken a different tact through role reversal that is the condition of isomorphic. It is a active strategy to break up the commonplace to say that Chunhyangjeon Story. In the end, the keys to success in the pictures content of the Korean classical novels is not borrowing material but is Structures appropriate for genre.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그레마스의 행위소 모델과 의미작용

Ⅲ. 〈전우치전〉의 구조와 영상화 전략

Ⅳ. 〈춘향전〉의 구조와 영상화 전략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