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656.jpg
학술저널

노인복지시설 이용노인의 고독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Loneliness on the Suicide Ideation of the Elderly Using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 566

노인복지시설 이용노인의 고독감은 자기효능감의 사회적 효능감 및 자기성취감을 매개로 하여 자살생각을 한층 더 완화시킨다는 것을 연구문제로써 검증하여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복지시설 이용노인들의 자살생각 감소를 유도하는데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을 세분화하여 사회적 효능감, 자기성취감의 매개적 역할을 검증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 본인의 자기효능감 강화를 위한 활동 이외에 타인과의 관계 개선 등의 사회적 효능감을 높이는 교육프로그램 등의 노력이 노인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새로운 변수에 의한 영향정도를 실증하여 연구의 범위를 넓히는데 일정 부분 기여를 하였다. 둘째, 서울 및 경기지역 노인복지시설 이용노인의 자살생각을 낮추고 자기효능감 수준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써 이용노인들의 일반적 특성을 통제변인으로 처리하고 고독감, 자살생각, 자기효능감을 함께 검토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영향을 미치는 크기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정확히 판별하고자 하였다. 셋째, 서울 및 경기지역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들은 일상생활에서의 깊은 고독감과 자기효능감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생활에 고독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자기효능감은 낮은 상태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이는 자살생각에 까지 이르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노인복지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 심리사회적 요인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와 실천을 통해 이용노인의 고독감을 낮추고 사회적 효능감과 자기성취감을 높이는 노력을 복지시설 본연의 기능으로 강화 및 회복시킬 필요성이 있다.

The feeling of loneliness of elderly people using elderly welfare facilities presented meaningful research results by examining the furthering relaxation by thinking about suicide as a mediator through the social hyeonun gum of self and the self - achievement feeling as research problem. First, it has academic significance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phantom gum, self-fulfillment by subdividing the subvariation of my own hyunun gum to induce a decrease in suicide ideation of elderly using welfare facilities. Based on this, in addition to activities for strengthening the elderly himself Hyeonnunggham, efforts such as educational programs to raise social hyeonungham including improving relations with other users will affect the idea of suicide by the elderly In order to prove the degree of influence by the new variable and expand the scope of the research, we made a contribution to a certain part. Secondly, considering the suicide of elderly people using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level process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re treated as controlled variables And by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zes that together study loneliness, suicide thought, self-efficacy, we exactly distinguish the magnitude affecting and the influencing factors. Thirdly, I realize that deep loneliness and self-efficacy in the daily life of elderly people using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will recognize that it affects the idea of suicide, Having regarded the feeling of loneliness high in life, relatively self Hyeonun gum lives in a low state, and it is indicated that this leads to the idea of suicide, while psychosocial factors in the management of the elderly welfare facility and composition of the program Through multilateral research and practice of utilization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feeling of loneliness of the elderly, strengthen and reinstate the efforts to increase the feeling of self-fulfillment with social pharmonic health and social welfare facility.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분석

Ⅳ. 요약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