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유형을 탐색하고, 각 유형이 지니는 특성을 Q 방법론을 통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학교사회복지사협회, 그리고 실무현장에서 종사하는 학교사회복지사가 제시하는 학교사회복지사의 핵심역량을 취합 정리하여 40개의 Q 표본을 선정하였다. 또한 서울, 경기지역에서 종사하는 36명의 학교사회복지사를 P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에는 PC QUANL을 활용하였으며, Q 요인분석은 주성분요인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핵심 역량은 크게 1) 관계 형성 및 유지 역량, 2)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 운영 역량, 3) 학생의 권리 옹호 역량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사의 교육, 훈련, 실무에의 함의를 전달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types of perception about the core competencies of school social worker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rough Q methodology. 40 Q samples were derived from the competencies that were presented by school social workers as well as national associations of school social workers both in the U.S. and Korea. 36 P samples were selected from school social work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study, the core competencies recognized by school social work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 1) relationship oriented competency, 2) programming competency, and 3) student right advocacy competency. By analyzing the core competency in each type, it is suggested that the competency of each type should be integrated through the future education, training and practice for school social workers in Korea.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