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대혜 보각선사는 송나라의 혼란기를 살면서 현실참여적인 禪 사상을 펼친 인물로서 그가 다른 사람과 주고받은 편지들을 모아서 펴낸 『대혜보각선사서』에 그의 사상이 잘 드러나 있다. 이 책은 중국에서 처음 간행된 뒤 한국에도 전래되어 한국에서도 여러 차례 간행되어 한국의 禪 사상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영남대 동빈문고에 소장된 『대혜보각선사서』에는 借字 口訣이 기입되어 있는데, 이 구결을 통해 당시 한국어의 모습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Daehye(大慧) is a Zen Buddhist in the Song Period, who showed a strong propensity of social participation. Daehyebogakseonsaseo(大慧普覺禪師書) is a collection of letters which he exchanged with other people, in which his thought is well represented. After its introductionto Korea, this book had a big impact on Korean Zen Buddhism. In Daehyebogakseonsaseo in the Dongbin Collection of Yeongnam University, Kugyol letters had been written from beginning to end. We can see the linguistic facts of that time through this material.
목차
국문초록
Ⅰ. 저자와 책의 내용
Ⅱ. 간행 및 서지적 사항
Ⅲ. 구결의 양상
參考文獻
abstract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8)
- 1970년대 국전의 인물화 :동양화 구상부 입상작 중심으로
- 영남대 소장 구결 자료 `大慧普覺禪師書`에 대하여
- 미누신스크 샬라볼리노 암각화의 성격
- 古代 安邊地域의 歷史文化에 대한 검토 :북한지역 향토사 정리를 위한 하나의 시도
- 영남대도서관 동빈문고 소장 表訓寺板 『緇門警訓』의 서지 및 구결
- 영남대본 『發心修行章』 연구 -자료의 實相과 復原을 중심으로
- Field Survey of the United States 1871 Line of March in Korea
- 일본의 독도 이름 개칭에 관한 연구 : 松島에서 竹島로의 개칭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 백석의 기행시편 구조 연구
- 『월인석보』 권두 부속문자의 서지
- 동해안지역 정기시장의 변화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장을 중심으로
- 한국음악 연구방법에 관한 考察
- 문장형 단어형성요소의 형성과 특성 :용언 어간과 종결어미 결합형을 대상으로
- 桃灘 邊士貞論 -지리산 자락에서 꽃핀 劇的 人生 變奏
- 영남대 소장본 『夙惠記略』 고찰
- 韓國軍內 上官의 變革的 리더십이 部下의 職務滿足과 組織沒入에 미치는 影響
- 영남대본 『佛祖歷代通載』의 서지와 구결
- 朝鮮時代 慶尙道 高靈縣 高靈朴氏 少尹公派의 사회 · 경제적 기반과 향촌사회활동
추천 논문
-
박혜자(Hae Ja Park), 이옥철(Og Cheol Le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한국위기관리논집 Crisisonomy Vol.15 No.1 2019.01
-
이만종(Lee Man Jong) 한국테러학회 한국테러학회보 제8권 제2호 2015.06
-
중동 테러리즘의 테러양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KCI등재박석정(Park Suk Jung) 한국테러학회 한국테러학회보 제6권 제3호 2013.09
-
박재형(Park Jae-Hyoung) 한국중동학회 한국중동학회논총 제28권 제2호 2008.02
-
안남일(An Nam Il) 중동유럽한국학회 중동유럽한국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CEESOK Conference 2014 in Vienna 201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