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717.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려중.후기 채소생산의 발전

Study on Development of Vegetable Production during mid, late Goryeo

  • 176

12세기 이후의 동국이상국집과 목은집을 위시한 여러 문집, 13세기 향약구급방의 방중향약목, 14세기 노걸대, 15세기 산가요록에 등장하는 채소를 제민요술, 사시찬요, 농상집요 등 중국농서와 비교한 결과, 일부 훈채류를 제외하고 거의 대부분 동시대의 중국에서 재배되던 채소가 고려에서도 재배된 것으로 파악 되었다. 즉 중국에서는 송대에는 아메리카대륙산 채소를 제외하고 거의 재배되었다고 하는데, 고려후기에는 그와 유사한 상황이었다고 할 수 있다. 채소 종류는 크게 근채류, 과채류, 엽채류, 훈채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고려후기에는 여전히 식량의 대용으로 이용할 수 있었던 근채류와 과채류가 중시되었던 것 같다. 그 중 토란은 구황작물로 인식되어 중시되었고, 오이는 가장 많이 소비되는 채소였던 것 같다. 채소저장법의 대표라 할 수 있는 김치의 주재료로 이용된 것도 오이, 순무와 더불어 가지, 토란, 동아 등 과채류, 근채류인 것도 주목된다. 채소재배술의 발전에서 중요한 것은 시비법인데, 당시 최고의 집약농법이라 할 수 있는 구종법은 근채류와 과채류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채소재배법의 발전은 도시근교나 교통로 등에 위치한 지역을 중심으로 시장판매를 위한 채소재배를 가능케 하였다. 특히 양잠이나 축산 등을 상대적으로 규모있게 경영하여 蠶沙나 家畜糞 등 그 부산물을 시비에 이용할 수 있던 지배층에게는 채소생산을 통해 부를 축적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기도 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재배채소의 종류가 늘어나고, 재배법이 발전 하면서 소농민경영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자투리땅을 이용하여 재배하거나, 다양한 채소작물의 파종과 생육기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곡작물과 더불어 쉴 틈 없이 재배하여 식량결핍을 면할 수 있게 하였던 것이다.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vegetables that appeared in various literary works such as Dongguklisanggukjib(東國李相國集) and Mogeunjib(牧隱集) since the 12th century, Bangjung Hyangyakmok(方中鄕藥目) of Hyangyak Gugeubbang(鄕藥救急方) of the 13th century, Nogeoldae(老乞大) of the 14th century, and Sangayorok(山家要錄) of the 15th century with Chinese agricultural books such as Jeminyosul(齊民要術), Sasichanyo(四時纂要), and Nongsangjibyo(農桑輯要), most of vegetables of China were also cultivated in Goryeo during the similar period, except some Hunchae vegetables. That is, during Song Dynasty, most of vegetables from America were cultivated, and it was the same situation in late Goryeo. Vegetable typ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root vegetables, fruit vegetables, green vegetables, and Hunchae vegetables, during late Goryeo, root vegetables and fruit vegetables seemed to be highly regarded, since they could be used in place of food. Among them, taro was highly regarded as famine relief vegetables, and cucumbers consumed the most. It is remarkable that the major ingredients of Kimchi, a representative vegetable storage, were fruit vegetables and root vegetables such as cucumber, radish, eggplant, taro, winter bud, etc. The important point of development of vegetable cultivation method was fertilization, Gujongbeob(區種法), the best intensive method during that period, focused on root vegetables and fruit vegetables. Development of such vegetable cultivation method enabled vegetable cultivation for market sale mainly with the region located in suburban areas or traffic routes. Particularly,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the ruling class, who could utilize the by-products such as silkworm droppings and animal manure for fertilization by managing silkworm farming or animal husbandry relatively in a large scale. However, the most important point was, a great contribution to stabilization of peasant management, as kinds of vegetables became various and cultivation method was developed. Accordingly, it was possible to relieve shortage of food by cultivating using small pieces of land or restless cultivation along with staple crops using difference in sowing and growth period of various vegetable crops.

Ⅰ. 머리말

Ⅱ. 고려중.후기의 재배채소의 종류

Ⅲ. 고려중.후기 채소생산의 발전과 특성

Ⅳ. 소농민경영에서의 채소재배의 의미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