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8601.jpg
KCI등재 학술저널

단군 연구사 검토 및 역사적 의미

  • 222

단군에 대한 인식은 조선시대 민족의 시조로서 또한 요동지역을 장악한 개척자로 인식되면서 중시되었다. 기자에 의한 문명교화론 인식이 부각되며 그 위상이 약화되었으나 반청인식의 중심으로 민족적 자각의 상징으로 단군은 그 위상와 역할이 부각되었다. 일제강점기 일본에 의한 단군부정은 근거사료의 후대성과 일선동조론적 관점에서 강조되어 단군부정과 실상 왜곡이란 두 측면이 동시에 진행되었다. 이 같은 문제제기에 대해 민족고유 신앙적 측면과 낭가 사상의 연원으로서 단군을 부각하였다. 해방이후 산동성 무씨화상석의 연결가능성으로 연대관 상승과 토테미즘과의 관련성 등 신화 민속적 접근과 특히, 고고학적 접근을 통해 단군의 민족문화연원으로서의 위상이 부각되었다. 한편, 북한학계는 고조선중심지문제와 함께 단군의 실재성을 강조하여 1993년 단군릉을 평양지역에 비정하고 고조선 평양중심설 및 대동강문화론의 중심 근거로 삼아 조선민족제일주의의 근거로 부각하여 단군문제를 정치논리에 예속시키는 상황을 초래하였다.한편,중국은 동북공정이후 단군신화가 중국의 신화 체계와 연결된다는 점을 부각하고자 하였으며 중국신화범주에 이를 포섭하여 중국적 역사문화의 일부분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이에 대해 한국학계는 단군신화의 역사성을 강조하고 단군인식의 계승성이 고구려로 소급되며 고조선·고구려 계승인식의 범주에서 단군인식의 역사적 사실성을 부각하고자 하였다.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조선시기의 단군인식

Ⅲ. 일제강점기 단군 연구

Ⅳ. 북한학계의 연구

Ⅴ. 중국학계의 단군연구

Ⅵ. 한국학계의 단군연구

Ⅶ.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