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8602.jpg
KCI등재 학술저널

八公山 禪本寺 三層石塔 硏究

A study on the three storied stone Pagoda of Sunbonsa - Temple in Mt. Palgongsan

  • 31

팔공산 지역에서도 선본사가 위치한 지역은 다른 팔공산 지역보다도 앞선 시기의 불교유적들이 남아 있어 일찍부터 주목 받았다. 현재 선본사에는 통일신라시대 삼층석탑을 위시하여 석등 부재 및 불상대좌 등과 관봉에는 소위 갓바위로 불리는 석조여래좌상이 남아 있다. 이 가운데 선본사 삼층석탑은 탑의 전체적인 형태나 조탑장소에서 일찍부터 주목 받았으나 양식고찰이나 이를 토대로 한 정확한 건립시기가 고찰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선본사 삼층석탑이 건립된 시기와 이 석탑이 팔공산 일대에서 갖는 의의 및 특징을 통하여 그 중요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선본사 삼층석탑이 팔공산 내에서도 가장 이른 시기의 석탑임을 밝히고, 어떻게 팔공산 내에서도 선본사에 시기적으로 앞서는 불교유물이 성립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에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팔공산의 불교문화는 경주에서 직접적인 영향하에 성립되었음이 확실해 보인다. 이는 선본사 삼층석탑의 결구방식을 통하여 알 수 있다. 특히 8세기에 이르러 경주지역의 석탑문화가 서서히 지방으로 확산되는데, 동일한 양식의 석탑이 경주 서남쪽으로 청도, 서북쪽으로 팔공산을 거쳐 성주까지 확산되었다. 이는 중앙양식의 직접 파급, 즉 경주 장인에 의한 건립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같은 석조기술의 전파는 이후 지역의 건탑의지를 자극하여 석조미술 발전에 기여한 바가 크다. 팔공산 지역의 경우 기성동 석탑, 부인사 석탑, 북지장사 석탑을 거쳐 9세기 후반 동화사에서 석탑문화의 정점을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이 같은 선두적 석조기술이 뿌리 내릴 수 있었던 것은 선본사와 관봉에 이르는 경산지역의 지리적 여건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통일기 이후 오악신앙이 확대되면서 중악으로 자리잡은 팔공산 지역은 국가영역의 확대라는 면과 불법홍보라는 면이 맞물려 가속화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테면 선본사 삼층석탑의 조탑장소가 사찰과는 관계없는 산허리에 위치하여 사바세계를 내려다보듯 자리잡은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선본사 삼층석탑의 성립과 경내의 석등부재, 불상대좌 등은 팔공산 내의 석조미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The area where Sunbonsa-Temple (禪本寺) is located has been highlighted for long its Buddhist relics whose periods are earlier than the others in Mt. Palgongsan (八公山). Curently, Sunbonsa-Temple has a three-storied pagoda and a stone Buddha statue called Gotbawi in Gwanbong. The three-storied pagoda among all has grabbed early attention in terms of its overall shape and building site, but it has not been researched yet. Thus, this study identifies its significance from the viewpoints of its building period and its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in the Mt. Palgongsan area. The research reveals that the three-storied pagoda in Sunbonsa-Temple was built in the earliest time and examines its effect on other relic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obvious that the Buddhist culture in the Mt. Palgongsan area was established under the direct influence from Gyoengju. Particularly, the stone pagoda culture in Gyoengju has spread to local areas around the eighth-century as the pagodas in the same style were built from Chongdo, southwest of Gyoengju through Mt. Palgongsan to Sungju, northwest of Gyoengju.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central style was directly delivered as the craftsmen in Gyoengju built them directly. The spread of stone art stimulated the Mt. Palgongsan area to build stone pagodas such as the stone pagoda in Gisungdong, one in the Buinsa-Temple and one in the Bukjijangsa-Temple and reached the peak in the stone pagoda in Dongwhasa in the late ninth-century. Second, it is estimated that the geographical conditions in the Gyeongsan area from Sunbonsa-Temple to Gwanbong account for the settlement of the advanced stone art. In particular, with the spread of the worship of Five Mountains after the Unification, the Mt. Palgongsan area was considered as the central mountain, and it was expeditated by the drives to extend national territories and through illegal promotion. For example, the fact the building site of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in Sunbonsa-Temple is located on the hillside, which is not concerned with the temple and which looks like it watches over the world of the suffering underneath, is not unrelated to the idea of the worship of Five Mountain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building of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in Sunbonsa-Temple is very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stone art in the Mt. Palgongsan area.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선본사와 삼층석탑의 현황

Ⅲ. 삼층석탑의 조성시기

Ⅳ. 삼층석탑의 조형적 특징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