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시대 정원문화로 읽는 <안빙몽유록>
Read An-bing-mong-yu-rok through the Garden Culture of the Choseon Dynasty
- 신희경(Hee Kyung Shin)
- 한국고전연구학회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 제45권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05
- 281 - 316 (36 pages)
본 논문은 <안빙몽유록>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창작의 장소이자 소재로서 정원에 주목하여 정원에 대한 사대부의 인식과 기재를 중심으로 하는 신광한의 정원을 고찰함으로써 당대의 정원 문화가 작품 창작에 끼친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사대부에게 정원은 산수 경물의 관람과 양화를 통해 격물치지를 수기치인으로 연결하는 도구였으며 수양의 공간이었다. <안빙몽유록>의 창작 시기로 볼 때 <안빙몽유록>의 정원은 신광한의 ‘기재’에 기초하고 있다. 신광한은 정원의 객물에 감정을 이입하지 않고 객체의 특성을 살리면서 자연의 이치를 깨닫는 양상을 보인다. 객체가 가진 고유의 성격과 객관적 정보를 활용하면서 정체성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신광한은 자신의 일상을 <안빙몽유록>에서 구현하였다. <안빙몽유록>은 일상적 공간을 소재로 갈등 없이 조화로운 모습을 지향하고 있기에 전대 소설에서 성취하였던 세상과의 갈등이나 첨예한 작가의식이 나타나지 않는다. 조선시대의 정원 문화를 통해 <안빙몽유록>을 이해하는 것은 작가 신광한이 가진 도학자로서의 면모를 분명히 하고 16세기 소설로서 <안빙몽유록>이 가진 문학사적 위치를 재구하는 방법이 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garden as the material and place of creation as a way to understand An-bing-mong-yu-rok. I examined the recognition of the grandfathers of the garden and the description and garden of Shin Kwang-han. Through this, I tried to clarify the influence of the garden culture of the present day on the creation of the work. For the sadaebu(士大夫), The garden was a tool for connecting gyeogmulchiji(格物致知) to sugichiin(修己治人) by watching the landscape and cultivating flowers. And it was a space of self-discipline through nature. Considering the period of creation of An-bing-mong-yu-rok, garden of An-bing-mongyu- rok is based on Shin Kwang-han’s ‘gijae(企齋)’. Shin Kwang-han(申光漢) did not take emotions into the objects of the garden. Therefore, he realized the truth of nature. This aspect has been applied to Anbing- mong-yu-rok. He used object’s own personality and objective information and embodied his life in An-bing-mong-yu-rok in a way that reveals his identity. As An-bing-mong-yu-rok is aimed at a harmonious appearance without conflicts in everyday space, there is no conflict with the world that was accomplished in the previous novel or sharp consciousness of the writer. This character of An-bing-mong-yu-rok shows a discrepancy between the nature of genre and the thematic orientation. Nevertheless, it is a clear ind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16th century fictional novels that promote interest. Understanding An-bing-mong-yu-rok through the garden culture of the Choseon Dynasty clearly shows the aspect of the writer Shin Kwang-han, and way to reconstruct the literary historical location of An-bing-mong-yu-rok as a 16th century novel.
국문초록
1. 서론
2. 사대부와 정원
3. 신광한의 정원과 <안빙몽유록>
4. 정원으로 읽는 <안빙몽유록>의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