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860.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용가능성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웰빙, 주관적웰빙과 조직지원인식의 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mployability on adaptive performance: The ro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ubjective well-being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DOI : 10.36459/jom.2019.43.2.1
  • 1,979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환경변화는 직무성과의 개념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규정된 방법과 절차에 따라 정해진 성과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넘어서서 적응수행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 인사관리 관행은 관계적 계약의 형태에서 거래적 계약의 형태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에 조직구성원들은 고용가능성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직무환경 변화에 따른 전문성과 적응성의 개념을 반영하는 적응수행의 중요한 선행요소로써 고용가능성의 역할을 검증하였다. 이와 함께 심리적웰빙과 주관적웰빙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고용가능성은 서형 도・조윤형・조영호(2009)의 연구를 토대로 내부유연성과 외부이동성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Hayes(2018)의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으며, 총 312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활용 하였다. 동일방법편의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결과변수인 조직구성원들의 적응수행은 상사가 평가하였으며, 다른 변수들은 조직구성원들이 응답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가능성인 내부유연성과 외부이동성은 적응수행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웰 빙과 주관적웰빙은 내부유연성과 외부이동성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고 있었다. 다만 내부유연성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주관적웰빙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조직지원인식은 외부이동성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를 통해 고용가능성은 조직구성원들의 적응수행을 높이는 중요한 선행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 관계는 심리적웰빙과 주관적웰빙을 통해 매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직지원인식은 외부이동성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더욱 강화시킨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적응수행과 긍정심리학 이론, 웰빙 이론을 통합하여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사회적 교환관계 관점에서 조직지원인식의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실무적 시사 점은 외부이동성의 딜레마에도 불구하고 고용가능성이 높은 조직구성원들이 더 높은 수준의 적응 수행을 보이기 때문에 이를 높이기 위한 노력과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dividual’s employability on his or her adaptive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ability and adaptive performance was explored with psychological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Employability composing both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mobility is individual’s belief in the ability to identify and realize their career opportunities. Adaptive performance is the behaviors which exceed the scope of an current task or modify the contents of the task to flexibly respond to changing task environment.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could be better understood by the boundary conditions and the mechanism so that the study investigated the roles of well-being as the mechanism and POS as the context. The study employed three hundred twelve sets of questionnaire which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sources of response to minimize problems of common method bias. Several analyses of Process Macro were us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ployability(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mobility) had positive effects on adaptive performance. Second, psychological well-being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ability and adaptive performance.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well-being was not verif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flexibility and adaptive performance. Finally, POS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mobility and adaptive performance.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ability and adaptive performance can be understood by incorporating the theory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otivational states theory. Thus, in terms of social exchange theory, POS is regarded as a critical boundary condition to increases the effect of external mobility on adaptive performance because individuals make corresponding efforts when they are treated as valuable ones. The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organizational systems and policies supporting employees’ employability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and thereby lead their job performanc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