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867.jpg
KCI등재 학술저널

스마트폰 중독 집단상담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mart-Phone Addiction

  • 372

본 연구는 메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실시된 연구 가운데 총 40편을 선정하여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0편의 논문에서 산출한 147개(중독요인), 97개(보호요인), 71개(위험요인)의 효과크기를 종합한 결과, 스마트폰 중독 집단상담프로그램을 적용한 평균효과크 기는 .945(중독요인), .709(보호요인), .852(위험요인)로 효과크기 값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요인, 보호요인, 위험요인에 미치는 효과크기의 이질성을 분석하기 위해 학교급, 성별, 프로그램 목적, 집단원 수, 총 회기, 주당 운영 수, 회기당 운영 시간, 운영 기간을 조절변인으로 선정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meta-analys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group smart-phon addiction counseling programs. A total of 40 studies published from 2013 through 2017 were sele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ffect size of 147 samples(smart-phone addiction factors), 97 samples(protective factors), 71 samples(risk factors) were .945, .709, and .852 respectively, indicating a significant effect size. Secondly, effect sizes were compared in regard to moderator variables including grade class, gender, purpose, program participants, number of sessions, frequency a week, session operating time, operating du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ogram implementation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방 법

Ⅲ. 결 과

Ⅴ.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