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창업 실패요인에 대한 기존 문헌연구를 통하여 창업기업 문제점에 대하여 6개 주요인과 26개 하위 세부요인을 선정하고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각 요인 간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그리고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창업활동의 문제점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인의 순위는① 창업가특성, ②경영관리,③외부환경, ④창업전략, ⑤보유기술, ⑥자원 확보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장 양호하게 나타난 하위 세부요인의 순위 5가지를 살펴보면, 해당 분야의 경험과 지식(1위), 창업에 대한 의지와 열정 및 추진력(2위), 내부 구성원 간 협력 및 관계 형성(3위), 문제점 인지 및 해결능력(4위), 합리적인 의사결정(5위)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장 미흡하게 나타난 하위 세부요인의 순위 5가지를 살펴보면, 자기자본금 비중(26위), 사업화에 필요한 인력(25위), 부족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협력체계 구축(24위), 경쟁사가 모방하기 어려운 독창성과 차별성 있는 기술(23위), 자금 조달 계획과 능력(22위)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창업활동 변수 간의 연관성을 검정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6개 주요인 모두 상호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창업기업 당면 문제점의 주요인 및 하위 세부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산출하여 창업활동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 기존 연구는 창업 실패와 성공의 원인을 분석하는 정성적인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본 연구는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실패에 관한 정량적 연구를 수행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창업기업의 창업활동 문제점에 대한 실증연구를 통하여 예비 창업자와 창업정책 입안자에게 창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사전 대비를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basis of the prior literature on the factors of start-ups failures, this study selected 6 key-factors and 26 sub-factors for the problems of start-up companies,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on them. The results on the problems of start-up activities were presented through analysis of relative importance, priority and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providing helpful data on the research of start-ups: i.e.,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an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start-ups. The top executives ranked first in terms of ①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②management capacity, ③external environment, ④strategy, ⑤technology, and ⑥resource acquisition. The top 5 sub-factors founded were experience and knowledge in the field (first), willingness, passion and drive for start-up (second), collaboration and relationships among internal members (third), problem recognition and resolution (fourth),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fifth).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5 sub-factors listed were the proportion of equity capital (26th), the manpower needed for commercialization (25th),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capable of procuring scarce resources (24th), creativity and differentiated technology (23rd), and the ability to finance (22n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strategies for start-ups, resource acquisition, management capacity, external environment, and technology all showed correlations at the p<0.01 level of significance. The results, i.e., the priority of the key factors and the sub-factors of the present problems of the start-up company, are expected to help for solving the problem of start-up activities. In other words, our research may help to proactively make potential start-up entrepreneurs and start-up policy makers prepare for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start-up proces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