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관리자의 감정지능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과 상사 신뢰의 매개 역할 분석
The Mediating Roles of Self-efficacy and Trust in Supervisor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Nursing Manag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 창조와 혁신
- 제11권 제4호
- : KCI등재
- 2018.12
- 105 - 144 (40 pages)
본 연구는 간호 관리자의 감정지능이 하급자의 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간호 관리자의 감정지능과 조직효과성(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대해 하급자의 자아효능감과 상사 신뢰가 각각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병원 간호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PLS 통계패키지를 이용해 측정 변수들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평가한 다음, SPSS/WIN 23.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사의 감정지능과 하급자의 직무만족, 또는 상사의 감정지능과 하급자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 각각에 대해 하급자의 자아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두 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한편, 상사 신뢰의 매개 역할은 상사의 감정지능과 하급자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유의하였으나, 상사 감정지능과 하급자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매개 역할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공헌은 첫째, 아직 검증이 이루지지 않은 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간호 관리자의 감정지능→매개변수(자아효능감, 상사 신뢰)→조직효과성(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간의 매개 역할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을 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병원 간호조직에서 간호 관리자의 감정지능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여, 이를 간호조직에 실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제언을 제시했다는 점에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끝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기술하였다.
2)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nurses’ self-efficacy and trust in supervisor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nursing manag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i. e. ,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study adopted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233 clinical nurses in large hospitals. In order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PLS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testing the proposed hypotheses, regression analyses were executed using SPSS/WIN 23. 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nurses’ self-efficacy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nurses’ job satisfaction, and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eanwhile, nurses’ trust in supervisor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nurses’ job satisfaction, whereas it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insignificant. The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 that nursing managers’ emotional intelligence has substantial effects on nurs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urther, nurses’ self-efficacy and trust in supervisor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two OE variables, although the mediating role of trust in supervis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insignificant(p=. 088). The practical implication drawn from the study results would be that nursing managers’ emotional intelligence need somehow to be enhanced by innovating nursing managers’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s. Also in oder to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hanges in training programs for enhancing nurses’ self-efficacy and trust in supervisor are called for.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