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이동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Decision of Residential Relocation of Newlywed Households

  • 209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은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일자리나 주거와 같은 구조적인 요인들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저출산 문제에 있어서 결혼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결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면서 신혼부부 가구를 위한 주거지원 정책 개선의 필요성 또한 증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이동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6년 신혼부부 가구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신혼부부 가구를 맞벌이 여부에 따라 세분화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맞벌이 가구의 경우 맞벌이 가구에 비해 교통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이동 의사를 결정하는 주거환경 요소들은 맞벌이 가구와 외벌이 가구가 다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 가구의 경우 치안, 범죄 등 안전환경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외벌이 가구의 경우 안전환경 뿐만 아니라 녹지, 공원, 산책로 등 주변 자연환경과 버스, 지하철등 교통환경이 주거이동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신혼부부 가구 주거환경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n the decision of residential relocation of newlyweds in Seoul. Using the 2016 Korea Newlyweds’ Housing Survey data, we separated the respondents into two groups, dual-worker households and single-worker households. Then, we compared the level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he effec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n the decision to relocate. The empirical analyses show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ransportation environment is higher for dual-worker households than single-worker households. Also,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between dual-worker households and single-worker households. Neighborhood safety, presence of a natural environment, and transportation environment are important factors on the decision of residential relocation of the single-worker household. Neighborhood safety is important for the dual-worker househol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1. 신혼부부 가구의 특성 및 주거이동

2. 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

Ⅲ. 연구방법

1. 분석자료

2. 분석방법과 측정변수

3. 기술통계

Ⅳ. 실증분석 결과

1. 맞벌이 유무별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2. 주거이동 의사결정 요인 분석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