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비트코인(금)의 거시 경제적 변동에 대한 헷지능력

Bitcoin(Gold) Hedging vs Macroeconomic Volatility - Including Real Estate-

  • 208

암호화폐는 금과의 유사성으로 가상화폐와 금이 평상 시에 부동산을 포함한 경제변수의 변동성에 대한 위험회피와 극심한 경제변동기에 위험분산이 어느 정도로 가능한가? 에 대한 검증은 포트폴리오 관리에 있어 부동산 금융ㆍ일반 금융정보 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고는 7년 6개월간(2010년 7월-2017년 12월)의 부동산 등 경제 변동이 비트코인과 금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BEKK (1990) 분석을 하였다. 금은 강한 헷지 (TWM, TB3M, WTI, SP500, FTSE100, KOUS). 약한 헷지 (CASE, KCPI-HOUSING. IPI, KIPI, inflation, KCPI), 헷지 없음 (SILVER)이 추정되었다. 특히 한국과 미국의 부동산에 대해 약한 헷지임을 추정하였다. 안전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비트코인은 일부에서 약한 헷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수익률과 변동성 식의 교차항들이 유의하게 추정되었다. 이는 교차항을 중시하는 다중 벡타 BEKK모형 선택이 적정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위험분산 회피 전략에 있어 우선적으로 부동산 등 글로벌 지표를 중시하여 운용하는 포트폴리오가 효율적이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금과 비트코인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비트코인의 역기능이 방지된다면 부동산 등 일부 거시 경제변동에 대해 헷지 가능성이 존재함을 실증적으로 발견하였다.

The hedging capability of bitcoin against the volatility of economic variables would add the strength of bitcoin if it exists in bitcoin as well as in gold. Similarity of bitcoin to gold invokes the consilient research of bitcoin and gold for interaction and comparison. The asymmetry is also a great concern in finance since Black (1979). The model emphasizing the cross-terms and interactions would be preferred. Thus the paper studies the interaction of bitcoin and gold against economic variables including real estate of Korea and US using 1,943 observations from 2010 to 2017 employing VARMA, ASYMM. VGARCH(BEKK). For gold, strong hedges are found for TWM, TB3M, WTI, stock (SP500, FTSE100) and foreign exchange (KOUS). weak hedges are found for CASE, KCPI-HOUSING. IPI, KIPI, inflation, and KCPI while no hedge for SILVER. The safe haven is also found. Weak hedges are mostly found in bitcoin. It is notable that the cross terms and macroeconomic factors are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model is appropriately fitted. Both bitcoin would be the hedging vehicle as well as gold under some favorable conditions for bitcoin, immune to its malfunction.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계량모형과 자료

Ⅳ. 헷지와 안전처 기능의 실증분석

1. 기술 통계량

2. 측정과 결과 분석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