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인천시 공공주택 대상가구의 주택 노후도와 주거 만족도 간의 인과관계 분석

- 일반임차와 공공임대가구 대상 비교분석 -

  • 57

인천시 원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노후주택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도심쇠퇴와 더불어 치안 및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결국 주거만족도에도 직간접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월 소득 6분위 이하 일반임차와 공공임대 가구 간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파악하는 것은 주거복지 차원에서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천시를 대상으로 일반임차가구와 공공임대가구의 주택노후도와 주거만족도 간의 세부인과관계를 규명하고, 두 유형 간에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여 공공임대주택 정책과 노후주택관련 정책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임차의 경우 주택노후도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주거만족 요인들로 실내공간 및 환경특성, 주거입지환경으로 나타났으며 공공임대의 경우 실내공간 및 환경특성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내환경특성과 주거환경요인 간 인과관계 검정결과, 일반임차와 공공임대 모두 실내환경특성이 쾌적 및 치안환경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쾌적 및 치안환경과 주거사회 및 입지 요인 간 인과관계 검정 결과, 일반임차의 경우 주거사회환경과 주거입지환경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임대의 경우 주거입지환경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한 민간 임대주택 시장과 공공임대주택 거주자를 위한 주거복지 및 재생 정책과 계획이 필요하다.

The number of old houses have risen in original downtown in Incheon city and it has impacted on the urban decline, the rise of security and safety problems, and satisfaction of housing environment. Also, identifying the differences of residential satisfactions between the private rental housing residents and public rental housing dwellers can be important in terms of housing welfare. Thus,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deterioration level and satisfaction of housing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well as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by using Structural Equatation Modeling.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housing deterioration level has influenced on the inner space and environment factors in case of both private and public rental households, and also the location factor is impacted by the deterioration level in the case of private rental households. Second, in case of both private and public rental households, the result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oor environmen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factors has shown that the indoor environment facto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fort and security factor. Third, the result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mfort and security factor and social relationship and housing location factors, the comfort and security factor has a important influence on social relationship and housing location factors in case of private rental households, and it has impacted only on housing location factor in case of public rental households.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설계

1. 연구 설계 및 자료 수집

2. 연구 가설 및 분석 모형

Ⅳ. 실증분석

1. 기초통계량

2. 측정모형의 분석

3. 연구모형 검증 및 분석

Ⅴ. 결론

1. 연구 결과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 한계점 및 향후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