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아파트 조경공간 심리적 조경이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한국조경학회가 주관하는 2014년 제 7회 대한민국 조경대상 시상식에서 공원녹지부문 우수상을 수상한 수원시 e-편한세상 광교 1차 아파트 단지의 조경공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 제거와 표본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PLS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스트레스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조경이미지는 안정성(편안하고 안정적인)이였다. 다음으로는 쾌적성(어메니티 : 상쾌하고 시원한), 특이성(관심있고 흥미롭고 재미있는) 순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아파트 조경공간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심리적 조경이미지를 분석해보았으며 그 특 성을 찾아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향후 아파트 조경공간의 이미지 개선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landscape image factors influencing stress in Landscape Space in Apartment Complex. For this purpose, the landscape space of Suwon City e-Comfortable Gwanggyo 1st Apartment Complex, which won the Excellence Prize of Park Green Area Award at the 7th Korea Landscape Design Award Ceremony held by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2014. PLS regression analysis was uesd to solve the multicollinearity problem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ample number proble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sychological landscape image which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stress reduction was stability (comfortable and stable). It was followed by comfort(amenity: refreshing and cool), and specificity (interested, exciting and funn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improve the image of apartment space in the future.
Ⅰ.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관련 선행연구 고찰
1. 스트레스 관련 선행연구 검토
2. 심리적 조경이미지 관련 선행연구 검토
3. 선행연구의 한계 및 연구의 착안점
Ⅲ. 분석의 틀 정립 및 자료 수집
1. 심리적 조경이미지 선정
2. 자료수집 및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분석
Ⅳ.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조경이미지 분석
1.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조경이미지 분석
2. 분석결과의 해석
Ⅴ. 결론
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2. 향후 연구과제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