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일조권의 재산권적 특성 및 보호에 관한 해외사례 비교연구

Comparative Case Study on the Property Characteristics and Protection of Sunshine in Overseas

  • 154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최근 화석 에너지의 대체에너지로써 주목 받고 있는 태양광(햇빛)의 재산권적특성에 주목하여 태양광 전력 생산의 전제조건이 되는 그림자 문제에 관한 실증적인 판단기준의 제공을 위하여 우리나라보다 앞서 태양광 전력생산의 경험이 풍부한 외국에 관한 사례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영국, 독일, 일본 등은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건축법 등의 관련법률에 일조권 방해에 관한 명문 규정을 두고 있으나 일조권을 에너지 생산을 위한 재산권의 개념으로 보기보다는 기본적인 생활환경을 구성하는 생활이익으로 간주하여 수인한도를 규정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그런데 미국의 경우에는 일조권을 생활이익으로 규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생산을 위한 개인의 재산권적 권리로 인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미국은 일조 권의 재산권적 활용과 관련하여 개인 간의 계약방식 외에 지방자치단체의 조례, 건축규제 등 공공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그늘짐에 의하여 개인소유의 태양광 발전의 방해가 발생하는 경우 그 처리에 대한 지침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결과들은 재산권으로써 일조권에 관한 법체계가 아직 마련되지 못한 우리나라 에너지 법 체계 구축의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is study reviews the property characteristics of sunshine as resource of renewable energ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although some regulations are under conducting as a kind of Building Code in England, Germany, and Japan those regulations consider sunshine as living interest rather than renewable energy resource just like in our nationʼs case. However, this research confirms that United States admits personal property right as for using sunshine to make renewable energy with the protection of solar right and solar easements. For instance, this study shows three main types of legal theories which can be used to insure solar access in US. The major advantage of lot-by-lot protection is that solar access is protected only in situations where it is immediately needed in a particular place. Area-wide protection for solar access makes advance planning possible and places little demand on the individual solar user. However, it does lack the flexibility of lot-by-lot protection and can require significant amounts of governmental involvement. Another general method of protecting solar access is that of compensatory approaches. This approach will most often take the form of private agreements for solar access or perhaps compensation from public sources for a loss of certain land uses due to a neighbor s solar access rights. It is subject to difficulties as well, the most significant one being the lack of funds available for these purposes. Finally,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practical consideration for the legislative officials who are attempting to develop ordinance, statues or other methods of providing for solar access. In addition, planners counseling clients with solar access problems would also find the material helpful.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일조의 개념과 재산권적 특성

1. 일조의 개념

2. 일조권의 재산권적 특성

3. 일조권 관련 선행연구 고찰

Ⅲ. 일조권 보호와 관련한 해외사례 분석

1. 일조권 보호관련 우리나라 법체계 분석

2. 일조권 침해의 판단기준

3. 일조권 보호와 관련한 해외 법체계 분석

Ⅳ. 재산권으로써 일조권 보호에 관한 미국법체계의 특징

1. 재산권으로써 일조권의 특징

2. 재산권으로써 일조권 보호를 위한 법적 기술들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