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목이 지역별 지가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공개된 대량의 지목, 공시지가, 건축물대장 정보를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설정된 가설을 입증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세분된 지역시장에서는 5가지 지목(전, 답, 임야, 대지, 도로)의 구성비에 따라지가수준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지목의 지가수준에 대한 영향력은 지역이 종류(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수도권)에 따라 다른 것이 입증되었다. 다만, 상업용 건축물의 4가지 용도별 건축물밀도의 영향력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상업용 건축물의 4가지 용도별 건축물밀도의 영향력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부동산 가격평가 등의 과정에서 객관적인 지가수준 판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발전시키면 2차수준의 대량감정평가를 위한 지가수준계산 모형을 개발에도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n the price of the land by the land category. Analyzed numerous information of the land category, official land price, and building register for the research. In addi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advanced research, setting up the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and proving hypothese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land price level on the local market decided by the composition of five land category (fields and paddies, forest land, site, road).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each land use on land level price has been prove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region (metropolitan, small city, rural, metropolitan area). However, the influence of building density on four kind purpose of commercial buildings(Sales, business, accommodation, multipurpose play facilities) was sm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objective land price level determination in the process of the evaluation of the real estate price and if developed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land price level calculation model for the second level of the large amount of appraisal.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지목 및 공시지가 관련 선행연구
2. 지가 결정요인 관련 선행연구
3. 선행연구 검토 결과
Ⅲ. 연구모형 개발 및 가설 설정
1. 연구모형 개발
2. 가설 설정
3. 변수의 조작화
Ⅳ. 실증분석
1. 기초 분석
2. 헤도닉지가모형 작성
3. 지목 영향력 분석 (제1가설)
4. 지역별 차별성 분석 (제2가설)
5. 상업용건축물 밀도의 보완성 분석 (제3가설)
Ⅴ.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