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개업공인중개사 서비스품질이 경쟁력제고와 서비스개선을 통한 개업공인 중개사 발전에 대해서 현업에 종사하는 개업공인중개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했으며,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업공인중개사 생존서비스품질을 월·전세전환배율, 공인중개사 수급조절, 불법중개행위 근절, 부동산직거래 위험성 및 피해방지의 4가지 척도와 16개 측정항목을 새롭게 개발했다. 연구가설이 개업공인중개사 생존서비스품질의 위계적 2차 모형, 개업공인중개사 생존서비스품질의 경쟁력 제고와 서비스 개선에 미치는 인과관계, 경쟁력 제고와 서비스개선이 개업공인중개사 발전에 미치는 인과관계가 모두 처음에 설정한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검정이 되어서 모두 채택되었다. 결론적으로 개업공인중개사가 급변하는 부동산중개시장에서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먼저 개업공인중개사의 생존을 위협하는 개업공인중개사 생존서비스품질에 해당되는 요인들을 가능한 한 많이 찾아야 한다. 또한 이들 생존서비스품질을 해결하고 대비함으로써 개업공인중개사의 경쟁력이 제고되고 고객에게 제공하는 중개서비스품질이 개선됨으로써 개업공인중개사의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고, 개업공인중개사의 생존권이 지켜질 수 있다는 점이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졌다.
This research studied empirically through a direct survey of practitioners across the country for realtor development of survival service quality via competitiveness increase and service improvements. As a result of research in it is as follows. Four latent variables as like Wolse and Cheonse conversion magnification, realtor supply adjustment, illegal brokerage eradication, real estate direct deal risk and prevention of damage for realtor survival service quality, and sixteen observed variables were newly developed. All of hierarchical multi-factor model of realtor survival service quality, causal relationship with realtor survival service quality and competitiveness increase/service improvements, causal relationship with competitiveness increase/service improvements and realtor development were tested in the direction of positive(+) set first,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ere all adopted. In conclusion, in order to survive and develop in a rapidly changing real estate brokerage market, it is necessary to find out as many survival service quality factors that threaten the survival of realtor as possible, by solving and preparing these survival service quality.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realtor can maintain their survival rights by improving the brokerage services provided to them.
Ⅰ. 서론
Ⅱ. 이론적 검토
1. 개업공인중개사 생존서비스품질 개념
2. 성과변수 개념
3. 선행연구 고찰 및 차별성
Ⅲ. 분석의 설계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설정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구성
Ⅳ. 실증분석 결과
1. 응답자 특성
2. 측정모형의 타당성 분석
3. 확인요인분석 및 잠재요인 타당성
4. 연구모형의 분석 및 가설 검증
Ⅴ. 결론
1. 연구결과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