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노인주거복지시설의 현황 및 정책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of the Elderly Residential Welfare Facility Policy of China
- 사수영(Sah, Soo Young) 김행조(Kim, Haeng Jo) 문현승(Moon Hyun Seung)
- 대한부동산학회
- 대한부동산학회지
- 제45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7.08
- 123 - 140 (18 pages)
이 연구는 중국의 노인주거복지시설의 현황 및 정책에 관하여 살펴보고 한국의 정책 및 사례와 비교함으로써 정책입안자들에게 개선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사례와 현황 및 노인주거복지정책과 비교ㆍ분석함으로써 중국 노인주거복지시설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지속적인 발전 및 활성화에 대응하는 정부의 정책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중국의 거대 실버산업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의 양로서비스 산업 실무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 기여점이라 할 만하며 중국 노인주거복지시설의 현황 및 정부의 지원정책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한국의 연구자들에게 다소나마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특히, 앞으로 한국과 중국의 고령화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정부 및 공공기관과 민영 노인주거복지시설 운영에 대한 만족도를 중심으로 하는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는 향후에도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gener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s to policy makers by examining the status and policies of elderly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in China and comparing them with the policies and cases in Korea. Specifically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the elderly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and suggest improved policies for the Chinese government. As such,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Korea s elderly service industry practitioners seeking to enter the giant silver industry of China. It also purposes to help provide insights to Korean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the status of the elderly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and the supporting policies of China. In particular, as the aging population of Korea and China is expected to accelerate, the conduct of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institution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operation of the private welfare institution for the elderly should be continued in the future.
Ⅰ. 서 론
Ⅱ. 고령화와 노인주거 현황
1. 인구고령화
2. 고령화의 영향과 복지시설의 필요성
Ⅲ. 한국 노인주거복지시설의 현황 및 정책
1. 한국 노인주거복지시설의 현황
2. 한국의 노인주거복지 정책과 시사점
Ⅳ. 중국 노인주거복지시설의 현황 및 정책
1. 중국 노인주거복지시설의 현황
2. 중국의 노인주거복지 정책과 시사점
3. 노인주거복지시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