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간 부동산 자산의 대물림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Housing Wealth and Its Impact on Individual Happiness
- 마강래(Ma, Kang-Rae) 강은택(Kang, Eun-Taek)
- 대한부동산학회
- 대한부동산학회지
- 제4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7.04
- 291 - 305 (15 pages)
경제력과 행복의 연관성을 실증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물질적 부가 개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긍정적인 역할을 인정하고 있다. 물질적 부와 행복간의 밀접한 관계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부가 한 세대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음 세대에 계속적으로 대물림되는 현상이 존재한다면, 행복감도 대물림될 가능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부와 행복의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우리 사회에서 부동산 자산의 대물림 현상뿐만 아니라 행복의 대물림 현상도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은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에서 1999년부터 2012년 사이에 분가한 자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수 있다. 먼저, 부모의 부동산 자산이 자녀의 부동산 자산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행복의 세대간 전이 또한 강하게 일어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로, 세대간 부동산 자산 대물림의 정도와 행복 대물림의 정도를 비교한 결과, 두 대물림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의 대물림의 정도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우리 사회에서의 우려를 감안할 때,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행복의 대물림 또한 정책적 고려가 요구되는 사회적 현상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Over the last two or three decades, there has been a plethora of empirical studies concerni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come and individual happiness.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many studies regarding the intergenerational resemblance of economic resources. It can be inferred that if economic wealth, which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individual happiness level, is transmitted from parents to their children, there may be an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happines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parental happiness (or parental income) can have an effect on the child’s happiness level (or child’s income) using data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very clos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s income.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a strong evidence of the intergenerational resemblance of happiness. Furthermore, it was found from the empirical result that the influence of parental income on the income of their child is as large as that of parental happiness on the happiness of their child.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1. 부의 대물림 관련 선행연구
2. 행복의 대물림 관련 선행연구
Ⅲ. 실증분석
1. 주요변수 및 기초통계
2. 세대간 대물림 실증분석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