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민간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 환경 만족도가 매입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ve effect of environmental saticfaction of private rental house residents on their intention to purchase the house

  • 72
커버이미지 없음

최근 부동산 주택시장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저성장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주거에 대한 개념이 소유에서 이용으로 패러다임이 변화됨에 따라 임대주택 공급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지만, 공공임대주택 공급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재무여건 악화 등으로 인해 민간임대주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질의 임대주택 공급을 통해 다양한 주거 수요층에 대응하고, 임대주택 임차인의 주거만족도 증진에 도움을 주고자 주택의 내부 품질 및 단지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매입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 민간아파트 수준의 특화된 주거서비스 등이 제공될 수 있는 내부 품질 및 단지 환경 조성, 다양한 수요자의 특성을 고려한 특화된 구조 설계, 외부인의 통제 및 방범 시스템 강화를 통한 안정성 확보를 한다면 거주자들의 매입의향은 높아질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As basis of low interest and low growth have been prolonged after financial crisis in 2008, the concept of housing has been changed from possesion to use. Though this change of paradigm makes the rental houses’ demand increase, LH(korea Land Housing Corporation)which has responsibility to public rental housing provision is in financial deteriorated condition. Because of this situation, the nessecity of private rental housing on the rise. Therefore this study analyses that the effect of saticfaction of quality and environment to private rental house residents on their intention to purchase to deal with various demand by supplying good rental housing and to increase of satisfaction, As result, the intention to purchase is able to be higher if the private rental house has enough quality and environment development as much as private apartment, specialized structural design for various consumer s characteristic and tightened safety assurance by control outsiders and securuty.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1. 민간임대주택 정책의 변화

2. 주거 환경과 매입의향

3.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1. 조사개요

2. 신뢰도 검증

Ⅳ. 민간임대주택 거주자의 실증 분석

1. 조사대장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실증 분석 결과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