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을 이용한 CSR 프로그램 참여자의 관점에서 CSR 효과를 참여자의 인지, 감정, 행동적 영역에서 종단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을 이용한 CSR 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 1년, 2년 후 참여자의 해당 기업에 대한 주관적 지식, 태도, 이미지, 구전 행동의 변화를 규명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관여도를 CSR 프로그램 효과 발생의 한계적 조건으로 주목하여 관여도 수준에 따라 CSR 참여가 참여자의 주관적 지식, 태도, 이미 지, 구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예술교육을 이용한 CSR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참여 전보다 참여 이후에 기업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기업에 대한 주관적 지식은 참여 전과 참여 1년 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2년 차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기업에 대한 태도, 이미지, 구전 행동은 참여 전보다 1년차에 유의미한 수준의 향상을 보였으나, 이러한 수준은 2년차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수준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SR 전략 차원의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기업에 대한 주관적 지식, 태도, 이미지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프로그램 고관여 집단에서 저관여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프로그램 관여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SR participation using arts education in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domains. Specifically,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changes of subjective knowledge, attitude, image, world-of-mouth behavior toward the corporatio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CSR program using art education. Also, program involvement was considered as the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in arts education program and subjective knowledge, corporate attitude, image, and world-of-mouth behavior. Finding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participation in arts education program in CSR perspective affects corporate perceptions posi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ive knowledge about the corporation before and after one year of participatio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year and second year. In addition, corporate attitude, image, and word of mouth behavior demonstra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first year than before, but this level remained at a level tha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econd year. Also, the effect of CSR participation using arts education was moderated by participants’ program involvement, showing that the positive effect of participation of arts education on subjective knowledge, attitude, and image toward the corporation was higher in high involvement group than low involvement group.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및 분석결과
IV.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