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우대 활동과 직무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제조업 관리직 팀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op Talents Management and Job Str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the Managerial Team Leader in Manufacturing Industry
본 연구는 인재우대 활동과 직무 스트레스가 조직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앞선 영향력의 관계에서 공식적인 교육훈련 활동과 의사소통 활동의 수준에 따라 영향력의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2015년도에 조사한 인적자본기업패널 6차년도 자료로부터 316개의 응답을 확보하여 신뢰성, 개념 타당성, 연구가설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인재우대 활동은 조직몰입을 증가시키고, 직무 스트레스는 반대로 조직몰입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공식훈련의 수준에 따라, 인재우대 활동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차이는 존재하였다. 공식훈련의 수준과 관련하여, 낮은 수준의 공식훈련 활동을 행하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조직몰입을 더욱 고취시켰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의 수준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매출액, 설립연 도, 인적자원개발 전담부서의 유무를 통제한 상태에서, 인재우대 활동과 직무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내적 타당 성과 함께 학문적 시사점을 높였다. 아울러, 공식훈련 활동과 의사소통 활동의 조절변수의 역할을 탐색적으로 조명하였다.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s of both top talents management and job str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vestigate whether theses effec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formal training and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s of aforementioned effects. The 316 responses from firm panel survey of human capitals, which was conducted by KRIVET on 2015, were used to assess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and research hypotheses. Our results show that top talents management increa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reas job stress adversely redu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impact of top talents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formal training level. In relation to formal training level, lower-level formal training was more likely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higher-level formal training. Last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mpact of job str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communication level. By controlling for sales, establishment year, and HRD department status, this paper has improved the academic implication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top talents management and job stress that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e exploratory role of moderating variables of formal training and communication was examined.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III. 방법론
IV. 연구결과
V.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