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자화상 표현수업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며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능력과 콜라주 기법, 자화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하고 개념들 간의 관계를 탐색한 후 수업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표현 활동과 관련된 단원을 선정한 후 평가도구를 선정한다. 실기평가는 교육부 (2015)에서 제시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서울시 소재의 J고등학교 미술 동아리 남학생 10명을 단일집단으로 선정하고 표현수업을 위한 사전 인식도 설문지 조사 및 의사소통능력 사전 조사를 실시한 뒤, 6차시에 걸쳐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자화상 표현수업을 진행하고 사후 의사소통능력 검사 실시 및 학생 자기평가지및 동료평가지, 수업만족도 설문과 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 소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넷째, 연구자의 관찰평가 및 제작활동 결과물과 인터뷰, 평가지에 대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실험을 마무리한 후 SPSS/WIN 통계프로그램 22.0을 활용하여 의사소통능력의 사전·사후 결과를 통계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의사소통능력 측정 결과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자화상 표현수업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전체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portrait expressions using collage technique o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to accomplish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communication ability, collage technique, and self-portrait, the study derives the necessity of research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survey and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pts to figure ou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education. Second, after selecting the unit related to the expression activity, the evaluation tool is selected. The practical evaluation wa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ird, 10 male students of J high school art clubs in Seoul were selected as a single group, and questionnaires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previously surveyed. Fourth, the self-portrait expression class using the collage technique was carried out for 6 times, and post-communication ability test, student self and peer evaluation and class satisfaction questionnaire were proceeded to student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 students asking them of their feelings after clas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portrait expression class using the collage techniq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hole communication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및 절차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