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983.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협력학습 프로그램 성과분석: K대학 사례

The Performance Analysis of Collaborative Learning Program for Improving a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of University Student: A Case Study of K University

  • 142

본 연구의 목적은 정규 교육과정이 아닌 비교과 교육과정으로 운영하는 협력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 프로그램 참여 후 학습몰입, 학습동기, 문제해결능력, 자기주 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공되는 협력학습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 소재 K대학 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성과분석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먼저, 참여 학생 229명을 대상으로 학습 성과 관련변인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차이를 검증하였고, 다음으로 협력학습 우수 팀으로 선발된 5개 팀, 31명의 성찰문을 바탕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8주간의 협력학 습에 참여한 학생들은 학습몰입, 학습동기, 문제해결능력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수 팀으로 선발된 31 명의 8주간의 성찰문을 분석한 결과 협력학습 기간 동안 학습몰입과 관련된 성찰을 많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반에는 문제해결능력, 후반에는 학습동기와 관련된 성찰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협력학습 프로그램이 자기주도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학에서 장기간의 협력학습 비교과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at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a collaborative learning program have improved their learning flow, learning motivation, problem-solving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hich is provided as an extracurricular. This study sought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programs provided as an extracurricular at the univers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collaborative learning program operated by K University in Chungcheonbuk-do, and the performance analysis carried out in two major ways. First, the t-test of variables related to learning outcome wa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229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econd, the content analysis of the reflection reports was performed based on the data from 31 students who won as the five best collaborative learning team.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llaborative learning program significantly were improved their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learning flow, learning motiv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statisticall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o ensure that collaborative learning programs are effective in improving self-directed skills. Discussions and considera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for the performing effective collaborative learning programs in the universit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