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의 성과영향요인분석: 인증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인행정학회
- 경인행정학회 세미나 자료
- 2018년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18.02
- 143 - 166 (24 pages)
본 연구는 협동조합의 성과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협동조합의 인증유형인 일반적협동조합과 사회적협동조합을 조절효과로 삼아 분석을 진행하였다. 협동조합은 사회적 경제의 일환으로서 지분보유율이 아닌 일인 일표제를 원칙으로 조합의 의사결정을 이루며, 조합원이 생산자와 소비자로서 겸임하며 스스로 자급자 족하며, 지역사회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협동조합의 성과영향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으며, 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제공하는 협동조합 2017년 공시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종속변수로 선정한 당기순이익과 지역사회기여실적 모두에 대하여 1단계에서 3단계까지의 모형 개선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수인 당기순이익의 분석결과 홈페이지, 겸직임원비율, 자본금이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원비율, 출자금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수인 지역사회기여실적에서는 설립목적, 홈페이지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결정기구 수와 영업외수익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상호작용항에서는 경제적 요인인 당기순이익만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협동조합의 성과를 지향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될 요인들과 인증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정책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