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주거가치가 주거선택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Analysis of Value of Residence on Selection of Residence

  • 263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주택가격의 단기적인 변화가 심했던 2015년과 2016년, 2년간의 기간 동안 수요자의 주거가치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정형화하여, 주거가치가 주거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주거가치의 중요도와 주택선호도가 수요자의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거가치와 주택유형별 선호도 분석결과 투자가치요인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가치와 입지별 선호도와의 영향관계 분석 결과 투자가치는 도심선호도와 신도시 선호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교외선호도는 부의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주거가치와 보유 형태별 선호도와의 영향관계 분석한 결과 투자적 가치와 매매선호도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전세와 월세 선호도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주거가치는 투자가치만 20대와 50대 간이 유의한 평균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주택선호도는 수요자 연령대별로 보유형태별 선호도에서만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residential values for the past 2 years, the time when the short-term variations of residential values were quite serious, analyze the effect how residential values have affected the residential selection, and finally deduct how different the importance of residential values and residential selections were among the demand classes. The results werer found as following: First, the factor of investment value was the only factor which was statically significant among all factors. Second, the investment value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urban preference as well as to the new-town preference, yet the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suburban preference. Third, investment values and trade preference are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hile the Joense and monthly rent type preference were shown to be the opposite(negative). Fourth, residential values of 20 s and 50 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ifth, possession-type preference was found to be statiscally different by age groups for residential prereference.

Ⅰ. 서론

Ⅱ. 주거가치 및 주거선택의 일반적 고찰

1. 주거가치 및 주거선택의 개념

2. 선행연구 고찰

Ⅲ. 실증분석

1. 조사설계

2. 분석결과의 해석 및 논의

Ⅳ.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