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아파트의 사회적 자본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s of Complex-social Capital on Apartment s Prices

  • 63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전통적인 헤도닉 모형에서 설명하지 못했던 개별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자본 변수를 고려하여 아파트 가격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때 아파트간 입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공간적 자기상관성의 통계적 오류를 개선하기 위해 공간시차모형(spatial lag model)을 적용하여 아파트 가격결정 모형을 구축하였다.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써 전통적인 헤도닉 모형에 포함되는 독립변수와 더불어 개별 아파트에 해당되는 고등학교의 수준과 아파트 건설 회사의 브랜드 가치를 정량화하여 독립변수에 포함시켰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공간시차모형의 설명력이 전통적인 헤도닉 회귀모형보다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회적 자본변수들은 일관성 있게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아파트 가격 요인을 파악함에 있어서 기존 헤도닉 모형의 독립변수와 더불어 사회적 자본과 관련된 변수를 포함하여 모형을 개선하는 것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individual apartment prices. In order to do so in this research, spatial lag regression model in the spatial econometrics models has been applied to improve problems on spatial autocorrelation that can’t be fixed in the traditional hedonic price regression model. Especially, social capital variables such as social network of high schools and the apartment construction firm’s brand have been involved as independent variables with physical variables of individual apartment and the variables concerning access to public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model fit of SLM(spatial lag model)has been better than that of OLS considering the various statistical indicators. Second, the variables concerning social capital have highly affected individual apartment prices. It means that social capitals should be consider as determinant factors for apartment value. In addition, the various variables on social capital that might affects the apartment price should be included in housing survey.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1. 주택가격결정 모형: 헤도닉 가격모형

2. 주택가격결정 모형과 공간적 자기상관성

3. 사회자본과 주택가격

Ⅲ. 연구방법

1. 자료

2. 변수 및 모형

Ⅳ. 개별 아파트 가격 결정요인 분석

1. 공간적 자기상관성 검증

2. 모형 검증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