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디벨로퍼의 자산유동화 시 시공사 지급보증 실태와 위험요인

Construction Company s Payment Guarantee and Its Risk Factor for Developer Making Asset-Backed

  • 115
커버이미지 없음

이 연구의 목적은 구조화금융이론을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자산유동화실적과 디벨로퍼의 자산유동화 시 시공사의 지급보증 실태와 위험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조화금융 이론을 검토하여 자산유동화 수단인 ABS, ABCP 및 ABSTB가 국제회계기준상 본질은 유가증권이나 이를 사모로 발행 시 매입하거나 유통시장 이외에서 직접 매입한 경우에는 대출채권으로 계리되는 점을 규명하였다. 이로 인하여 디벨로퍼가 하는 자산유동화는 대부분이 대출이라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한편 시공능력 평가순위 50위 시공사중 31개시공사가 디벨로퍼의 자산유동화 수단인 ABS, ABCP, ABSTB, ABL 및 총PF대출잔액에 대한 지급보증실적과 해당 시공사의 부채총액과의 상관관계를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ABCP, ABL, 총PF대출잔액 및 총부채(CREDIT)의 연결정도 중앙성(100.0%)이 ABS와 ABSTB(80.0%)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연결정도 중앙성분석에서 ABCP와 ABL이 높은 것은 디벨로퍼의 신용상태가 낮을 뿐만 아니라 대표이사가 이사회 결의 없이 CP를 임의로 발행이 가능하고, 사모형태로 발행할 수 있는 등 쉽게자금을 조달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들이 모두 대출금성격으로서 연결정도 중앙성이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BS와 ABSTB의 연결정도 중앙성이 낮은 것은 ABS는 자산보유자 즉 디벨로퍼의 신용도가 우량한 경우에 발행할 수 있어, 일부업체만이 발행을 하였으며, ABSTB는 2013년에 발행이 시작되어 활성화 되지 안았고 이를 ABCP실적에 포함하여 공시를 함으로써 비중이 낮게 나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struction company s guarantee and its risk factor for developer making asset-backed. Based on IFRS we could find out that the asset backed of developer was mostly in the character of loan as a matter of fact. We analyze payment guarantee of 31 construction companies by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degree centrality between ABCP, ABL, PF, total liabilities(100.0%) is higher than ABS, ABSTB(80.0%). As shown above, The degree centrality of ABCP and ABL is high. Because the credit standing of the developer is bad and CEO is able to issue easily CP without the Board of Directors. Further, they are found to have the same in the character of loan. Besides, the degree centrality of ABS, ABSTB is low, because ABS can be registered and issued when the developer is stock-listed corporation or credit grade over BBB. Also ABSTB was first issued in 2013, only 7 companies out of the surveyed ones issued them.

Ⅰ. 서론

Ⅱ. 이론 고찰

1. 구조화금융이론

2. 선행연구

Ⅲ. 분석설계

1. 분석자료

2. 기술통계량

3. 분석방법

4. 분석절차

Ⅳ. 분석결과 및 해석

1. 연결정도중앙성 및 인접중앙성 분석

2. 매개중앙성 및 위세중앙성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