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거시경제변수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시계열의 VECM모형을 추정하여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VECM모형 분석결과를 기초로 거시경제변수의 충격이 주택매매가격과 주택전세가격에 미치는 반응을 충격반응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를 사용하여 분석했으며, 주어진 변수의 변동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변동성(volatility)을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지를 예측오차 분산분해분석(variance decomposition)를 이용하여 추정했다. 분석자료는 1987년 1사분기부터 2015년 3사분기까지의 분기별 전국주택매매가격지수 및 전국주택전세가격지수와 거시경제변수인 실질GDP성장률, 소비자물가상승률(CPI), 회사채수익률(CDR), 주가변화율(SP), 총유동성변화율등의 분기별 자료를 로그변환해서 변수로 사용했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주택매매가격과 주택전세가격이 거시경제변수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공적분 방정식들이 존재함으로써 VECM모형으로 추정했으며, 충격반응분석의 결과는 주택매매가격 및 주택전세가격이 거시경제변수의 1단위 표준편차의 충격에 대해서 양(+)의 방향이나 또는 음(-)의 방향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수준은 각각의 경제변수에 따라서 크기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산분해 결과로는 주택매매가격이나 주택전세가격 모두 자기 자신의 변동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경제변수는 영향의 정도가 크지 않았지만 회사채수익률에 의해서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the empirical study that macro-economic variables are set to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market and macro-economic variables by estimating the VECM model series, and it was analyzed the reaction for impact of macro-economic variables to house sales price index or house Jeonse price index using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variance decompos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VECM model estimation from the first quarter, 1987 to the third quarter,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that the affect relationship with house sales price index and house Jeonse price index for macro-economic variables had estimated VECM model by existing co-integration equations, and it appeared to be influenced in the direction of a positive direction(+) or a negative direction(-) for a unit impact of the standard deviation of macro economic variables to house sales price index and house Jense price index, also analyzed that the level may appear different in size according to each of the macro economic variables. As the results of variance decomposition, both of house sales price index and house Jeonse price index appeared to have been affected to undergo a significant impact by their own variations. Other micro-economic variables showed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bond but yield greater the degree of influence.
Ⅰ. 서론
Ⅱ. VAR모형과 VECM모형의 이론적 검토
1. VAR 모형
2. VECM 모형의 추정
Ⅲ. 분석의 틀
1. 분석 자료의 선정
2. 주택가격지수의 변화 추이
Ⅳ. 실증분석
1. 거시경제변수의 안정성 검정
2. Granger 인과관계 검정
3. 공적분 검정 및 VECM 모형 추정
4. 충격반응분석 및 분산분해 분석
Ⅴ.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