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로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도시형 생활주택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관계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공간적 범위로는 서울시 25개구의 도시형생활주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로는 2012년까지 준공된 도시형 생활주택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경로분석을 위한 변수로는 주변환경특성, 문화복지특성, 교통입지특성과 도시형생활주택 규모, 가격으로 선정하였으며 각각의 구성개념을 대변할 수 있는 측정변수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관분석, 다중공선성 검토를 통하여 변수를 검증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변수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경로분석결과, 주변환경, 문화복지, 교통입지 특성은 주택규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가격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주택규모의 경우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주택규모는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되 다른 요인들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 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시형 생활주택의 규모 및 가격 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investigating a relationship with influential factors on the price of urban-life housing using path analysis model. It was focused on urban-life housing types of 25 districts within Seoul as a spatial scope and it started to researching based upon completed new urban-life-housing in 2010. It selected surrounding environment, cultural characteristic and welfare, easily located transportation, these housing sizes, and its own prices as variables of path analysis and then collected some materials like measured variables which were represented each constructs. Finally it verified the variables through an examination of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collinearity after then it was inspected a propriety of the variables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surrounding environment, cultural characteristic and welfare, easily located transportation were not affected the housing size however, it worked on the housing price. Furthermore, the housing size directly influenced the housing price but it was not much impacted by the others.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useful resources to decide the further urban-life-housing type sizes and prices.
Ⅰ.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의 착안점
1. 주택가격지수 관련 고찰
2. 선행연구 고찰
Ⅲ. 분석의 틀 정립 및 자료 수집
1. 분석의 개요
2. 분석지표의 선정 및 자료 수집
Ⅳ. 경로분석을 활용한 가격영향요인 분석
1. 주택시장 유형화 및 불안정 주택시장 분류
2. 불안정 주택시장에서 주택매매가격 변동 영향 요인 분석
Ⅴ.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