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오피스 임대료의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Forecasting office rent

  • 146
커버이미지 없음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오피스 임대료 지수 자료를 가지고 국가수준에서 오피스임대료를 예측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피스 임대료 지수는 계절성이 없는 비정상성 계열이다. 그리고 시도표에서 오피스 임대료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이를 나타냈다. 특히, 2000년 이후부터 2012년까지는 지속적으로 오피스 임대료가 상승하였다. 오피스 임대료 지수의 원자료의 ACF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형태이며 PACF의 경우에는 1차 시점에서 절단되었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는 오피스 임대료를 예측하기에 적합한 시계열모형으로서 ARIMA(5,2,1) 모형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오피스 임대료의 추세 및 예측에 대해서는 성과를 제시할수 있었지만 복잡한 오피스 임대료 결정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지는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더 오피스 임대료 예측에 대한 정교한 모형의 구축을 기대한다.

There has been numerous office rents forecasting studies in real estate price and r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ttempts a forecasting investigation of office rents at the national level with Korea data using time series analysis. using the national office rent index developed by Korean government, This study evaluates the forecasting performance of ARIMA methodology that are available to analysis for forecasting work. During 2000s, office rents index stimulated significant increase in south korea. thereby motivating a number of investors focusing on the accurate office rents forecasting in the office market. The results indicate that a preferred model chosen by us is ARIMA(5,2,1) and Ex post forecasts indicate that office rents shows a positive growth over 2004 - 2015. Accurate forecast of office rents are important for investors. the accuracy of the office rents forecasting is bench marked against the performance of financial market is assessed, because it establish broad market trends, or it can be included in returns and yields forecasts of the office markets. city can make better investment and development decisions if they have a thorough knowledge of the its unique trade areas and the respective number of businesses. seoul city, Trade Area Analysis, Multivariate Statistics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Ⅱ. 오피스 임대료의 예측

1. 이론적 모형

2. 선행연구

Ⅲ. 실증분석

1. 자료

2. 오피스 임대료의 추이

3. 임대료 지수 예측을 위한 자료변환

4. 모형의 식별

5. 모형의 추정

6. 모형의 진단

Ⅳ.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