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기기의 사용량이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인터넷이나 TV 사용이 줄어드는 반면, 모바일 기기의 사용량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에 따른 모바일 광고 시장은 계속 늘어나고 그 규모도 점점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LBS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가 브랜드마케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모바일 상용자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코딩과 데이터 크리닝 과정을 거쳐 SPSS 20.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또한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결론을 검증하였다. LBS(Location Based Service) 모바일광고의 적소성은 지각된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적시성, 정보성, 상호성은 지각된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적소성, 정보성, 상호성은 브랜드인지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조사되었으며, 적시성은 브랜드 인지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s mobile usage has been rapidly increasing, the usage of internet and TV has been decreased. Accordingly, the mobile advertisement market and its size keep growing. Consequently,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5 mobile users to analyze the impact of LBS mobile ads on the brand market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20.0 for Windows has been used with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process of coding and data cleaning for the study. Additionally, the results were ver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o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Using LBS mobile ads does not affect recognized quality. In contrast, timeliness, information, and reciprocity were investigated to have an impact on recognized quality. Also, involvement, information, and reciprocity has been investigated to affect brand awareness. However, timeliness does not affect brand awareness.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의 개념
2.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1. 연구의 모형 및 가설
2. 연구의 조작적인 정의
3. 연구의 분석방법
IV. 실증적인 분석
1. 응답자의 특성
2. 신뢰도 분석
3. 요인분석
4. 상관관계
5. 회귀분석
Ⅴ. 결론
1. 연구의 요약
2. 연구의 시사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