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도관련 학위논문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ando-related Thesis for a Degree
- 김홍택(Kim, Hong Teak) 우신구(Woo, Shin Ku) 권진혁(Kwon, Jin Hyeok)
- 대한부동산학회
- 대한부동산학회지
- 제39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4.12
- 107 - 119 (13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발표된 간도관련 석ㆍ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실태를 조사ㆍ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간도관련 학위논문의 특성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연구범위로서 시간적 범위는 1955년부터 2014년 10월 현재까지로, 공간적 범위는 우리나라 대학에서 발표된 석ㆍ박사학위논문으로, 내용적 범위는 간도관련 학위논문의 특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간도관련 학위논문의 정량적 특성으로는 첫째, 시간에 비례하여 간도관련 학위논문 발표가 증가하고 둘째, 앞으로의 간도관련 학위논문 발표 추세는 교육계열과 사회계열에서 많은 학위논문이 발표될 것으로 예측되며 셋째, 간도연구를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진행할 특성화된 대학이 없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성적 특성으로는 첫째, 앞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간도지역에 대한 영유권관련 학위논문 발표와 간도지역 사회문제를 다룬 학위논문의 발표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둘째, 간도에 대한 영유권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간도협약과 조ㆍ중 변계조약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간도지역 전역에 대한 통합적인 의미로서 통합성이 요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Gando-related masters and doctoral theses published in Korea and sugge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ndo-related theses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 time frame is from 1955 to the present, October 2014 whereas the spatial scope is limited to masters and doctoral theses published in Korea and the scope of the contents is limited to suggesting the characteristics of Gando-related theses. Research method included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net research, and technical analysis was used as the analysis method.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Gando-related thesis include first, publication of Gando-related theses is increasing proportional to time; second, future trend of Gando-related thesis publication will be related to education and social realm; and third, it was easy to see that no college was specialized to conduct systematic, in-depth study on Gando. Qualitative characteristics include first, publication of Gando dominium related theses and theses on Gando region s social issues is expected to increase as time goes by; second, resolution of Gando dominium issue requires continuous in-depth study on Gando treaty and Chosun/China Border Treaty, as well as integration of the overall Gando region as a whole.
Ⅰ. 서론46)
Ⅱ. 간도와 학위논문에 대한 일반적 고찰
1. 간도의 고찰
2. 학위논문의 고찰
Ⅲ. 간도관련 학위논문의 실태 분석
1. 정량적 실태 분석
2. 정성적 실태 분석
Ⅳ. 간도관련 학위논문의 특성
1. 간도관련 학위논문의 정량적 특성
2. 간도관련 학위논문의 정성적 특성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