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 경우 부동산 경기침체, 저축은행 부실화, 가계부채 심화 등 위험요소가 산적해 있는 상황에서 위기발생에 대비하여 현 민간 부실채권시장을 진단하고 위기 발생에 대비한 공적 역할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현재 민간 부실채권시장에서는 회수가 용이한 채권 위주로 거래가 형성되고 있고, 회생가능성이 낮은 악성 부실채권의 정리는 공적기구에 이전되고 있는 이원화 구조이다. 또한 수익창출이 목적인 민간 AMC는 구조조정을 통한 정상화 및 채무재조정 등의 회생 유인이 낮아 시장에 위험을 그대로 전달하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구조조정 경험 및 채무재조정 인프라를 구비하고 있는 해외 선진국 중에서 미국, 아일랜드, 스페인으로 한정하여 비교 분석하여 부실채권 정리 기구와 방안을 연구 확대하여 상시적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부실채권 정리와 회생의 기회를 마련 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If the domestic real-estate recession, deepening the financial sink, savings banks are insolvent, and the situation in which we ve got a crisis that risks occur in the County and caused a crisis for private bad debt markets in preparation for the public, there is a need to review about the role. The current private easy-to focus on the bad debt markets are being formed to deal with the bond recovered, is likely to revive the lower rogue NPL(Non Performing Loan) clearance achievements won previously in the framework structure. In addition, revenue-generating purpose of normalization through restructuring and civilian AMC debt restructuring and lower market risks as they revive the inducement to convey danger. In this study, a variety of structural adjustment and debt restructuring experience and infrastructure abroad considering bad debt clean-up equipment and research in developed countries by expanding the role of enemy units by the control tower to revive bad debt cleanup can raise the chances of policy alternatives to address this objective.
Ⅰ. 서론
Ⅱ. 부실채권의 개요와 현황
1. 부실채권의 개요
2. 부실채권의 현황
Ⅲ. 국내와 해외 부실채권의 이용실태와 운용
1. 국내 부실채권의 이용실태와 운용
2. 해외 부실채권의 이용실태와 운용
Ⅳ.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