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043.jpg
KCI등재 학술저널

건설주의 구간별 상승률 분석에 관한 연구

- 참여정부와 실용정부를 중심으로 -

  • 10

종합주가지수와 건설주지수, 부동산지수를 참여정부(2003.1-2007.12)와 실용정부 (2008.1 -2012.12) 두 구간으로 구분하여 추세와 상승률 그리고 상관관계를 비교해 보았다. 또한 종합주가지수 대비 건설주와 부동산종합지수의 상대적인 상승률이 어느 구간에서 더 높게 나왔는지 살펴보고 당시 부동산경기와 비교하여 그 이유를 살펴보았다. 참여정부 5년 동안 종합주가지수와 건설주는 동반 상승하였다. 건설주는 10배 이상 상승세를 보였고 종합주가지수는 3배 이상 상승세를 보여 동일 기간 건설주의 상승세가 강하게 전개되었다. 반면 실용정부에서는 종합주가지수가 일시적으로 하락 후 재상승하면서 직전고점을 상향 돌파하였으나 건설주는 하락 후 반등다운 반등을 보이지 못하고 고점대비 60% 이상 하락하였다. 지난 10년 동안 건설주는 종합주가지수에 비해 상승과 하락의 강도가 크게 나타나면서 높은 변동성을 보여 주였고 참여정부와 실용정부에서 상반된 움직임을 보여 주었다. 종합주가지수와 건설주, 부동산종합지수의 평균을 보면 참여정부에서부터 계속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실용정부에서 더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주가지수와 건설주의 표준편차를 보면 참여정부에서는 주식시장의 상승세가 계속 이어졌으나 실용정부에서는 하락과 반등을 시도하면서 수치가 더 작게 나타났다. 반면 부동산지수의 표준편차를 보면 참여 정부에서는 부동산지수가 하락 후 반등을 시도했으나 실용정부에서는 상승세가 계속 이어지면서 더 높은 수치를 보여주면서 상반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주가지수와 건설주, 부동산지수의 상관분석을 살펴보면 지난 10년 동안 주가지수와 건설주, 부동산지수는 각각 0.72와 0.74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나 건설주와 부동산지수는 0.18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LOG(주가지수)와 LOG(건설주), LOG(부동산지수)의 분산도를 보면 참여정부에서는 주가지수와 건설주, 부동산지수 사이의 타점이 일정한 방향을 보이고 있어 세 변수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나 실용정부에서는 상대적으로 방향성을 파악하기 어렵게 분포되어 있어 상관관계가 약하게 나타나 있다.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및 부동산 정책

1. 선행 연구

2. 참여정부와 신용정부의 부동산정책

Ⅲ. 자료 및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1. 기술통계

2. 상관관계

3. 모형 분석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