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시 창작 교육 과정에서 나타나는 애매성의 유형설정

Establishing types of ambiguity in the course of teaching how to write a poem

  • 45

이 글은 시 언어의 특성 중 하나인 ‘애매성’이 시 창작 교육 과정에서 유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몇 가지 ‘애매성’의 유형 도입을 제안하는 시도이다. ‘애매성’ 은 일상 언어의 특질인 ‘명확성’을 토대로 발생하는 문학 언어 내지는 시 언어의 특성이다. 하지만 개별 시의 가치 평가와 관련해서 이 애매성은 피해야 할 특성으로도 지적되고 있어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는 ‘좋은 시쓰기’를 지향하는 시 창작 교육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어 세부적인 유형화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글은 ‘열린 애매성’ ‘닫힌 애매성’으로 문학 언어의 특성을 설정했고 ‘유사 애매성’은 습작에서나 볼 수 있는 문학 밖 언어의 특성으로 설정했다. 문학 언어의 특성에 속하는 두 가지 애매성 중 시 창작 학습자가 지향해야 할 특성은 의미를 계속 생성하는 ‘열린 애매성’이다. ‘닫힌 애매성’은 의미가 해석 과정에서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나 상상력과 감수성을 신장시키는 데 한계를 보인다. ‘열린 애매성’의 신장은 시의 언어와 삶의 언어가 이 배척하지 않게 도우는 동시에 최근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 부분에서 강조한 문학의 역할과 부합한다고 이 글은 판단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induction of types of ambiguity in the course of teaching how to write a poem to make ambiguity ,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poetic language more useful in teaching poetry writing. Ambiguity is the features of literary language or language of poetry generated on the basis of definitude , the property of everyday language. However, in relation to the evaluation of each poem, ambiguity has been criticized as the traits that should be avoided and this aggravates the confusion. This confusion affects poem-writing education which aims at writing good poem and therefore, the need for classifying types of ambiguity has been raised. This paper establishes open ambiguity and closed ambiguity as the quality of literary language and similar ambiguity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outside the literature. Out of two types of ambiguity that belong to literary language, learners should aim at open ambiguity which continually creates meaning. Closed ambiguity reveals its limits in enhancing students imagination and sensibility because it is fixed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a poem. This paper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open ambiguity helps the language of everyday life and the language of poetry not to exclude each other and also coincides with the role of literature emphasized in literary section of recent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애매성`의 세 가지 유형

Ⅲ. 열린/닫힌/유사 애매성의 적용

Ⅳ.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