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067.jpg
KCI등재 학술저널

이해인 시의 은유와 영성

Research on metaphors and spirituality of Lee Hae-in’s poetry

  • 24

본고는 이해인의 시를 형상화하는 중요한 방식으로 은유에 주목하고 그 특성을 구명한 글이다. 비유는 예수가 군중들에게 하느님의 말씀을 쉽게 가르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택한 전략적 방식이다. 예수의 비유는 당시 군중들의 삶을 충분히 반영하여 그들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말로 하느님 나라를 설명하고 이해시키며 궁극적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이해인이 텍스트에서 은유의 기반으로 삼은 연필이나 빨래, 설거지, 청소, 항아리, 장독대 등은 이해인의 삶이 투영된 소재이다. 이해인 자신의 은유인 연필은 ‘깎다’라는 서술어와 결합하여 ‘소멸’과 ‘순명’이라는 영성적 의미를 형성한다. 빨래나 청소, 설거지 등은 ‘비움’과 ‘버림’, ‘정결’과 ‘정화’의 영성을 발견하게 한다. 항아리와 장독대는 이질적인 것들이 모여 그것들이 완전히 새로운 것으로 질적 변화가 일어나는 영성적 공간의 은유이다. 이해인이 구사하는 은유는 매우 소박하고 친숙한 소재들을 통해 형상화되어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이해인의 은유에는 절대자에게 순명하고 절대자의 가르침을 지향하며 기도하고 일하는 수도자의 영성이 내포되어 있다.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명료한 이해인의 은유는 영성의 의미가 추상화되거나 관념적으로 인지될 위험을 차단한다. 이것이 이해인의 텍스트에서 구사된 형상화 전략으로서 은유가 보여주는 가치이다.

This thesis investigates Lee Hae-in’s metaphors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the context of how they embodies Lee hae-in’s poetry. Metaphor is a strategy of Jesus which he used in order to teach Words of God and let crowds understand what Kingdom of God is. Metaphors of Jesus are valuable in that they reflected lives of crowds thoroughly and explained Kingdom of God in easy words which people could understand, and ultimately showed them what Kingdom of God is. Lee Hae-in’s Materials of metaphor such as pencils, washing, dishwashing, cleaning, hang-a-ri(a Korean traditional crock for condiments and sauce) and jang-dok-dae(Korean traditional platform for crocks of sauces and condiments) which were used in her poetry reflects Lee Hae-in’s life. A pencil, which is a metaphor of her life, is combined with verb “sharpen” and creates spiritual meaning: Extinction and obedience. Washing, cleaning and dishwashing let readers discover spiritual meanings such as “vacating”, “purify”, “cleanliness”, and “cleansing.” Jars and jang-dok-dae is combined and creates completely different meanings from their original meaning: A spiritual place where qualitative changes occur. Metaphors used by Lee Hae-in contain religious’ spirituality such as obeying God, aiming for teachings of God, and “Orare et Laborare(Pray and Work).” These metaphors are embodied through naive and common materials. Also, by using these familiar materials, the meaning of spirituality is prevented from being considered as something abstract or ideological. This is value of metaphors as imagery strategy from Lee Hae-in’s poetry.

1. 서론

2. 은유의 근원인 성경과 ‘말씀’의 이해 지평

3. 은유 성립의 몇 가지 기반과 영성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