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080.jpg
KCI등재 학술저널

복구비 투입에 따른 방재능력 향상의 정량적 평가

Evaluation of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y Improved Through Investment of Recovery Cost

  • 95

본 연구에서는 호우피해 발생 후에 투입되는 복구비로 인한 방재능력 향상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최근 10년간 호우피해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였던 경기도 평택시, 광주시, 포천시, 화성시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고, 기간별 피해액과 복구비 자료를 구축하였다. 피해 발생 기간의 총 강우량과 5일치 선행강우량을 합하여 재해강우량을 산정하였고, 해당년도의 복구비 투입 전 방재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재해강우량-피해액 관계식을 구축하였다. 관계식을 통해 다음해에 발생할 재해강우량에 대한 가상 피해액을 산정하였고, 실제 피해액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피해저감 편익을 산정하였다. 투입된 복구비와 피해저감 편익의 비를 방재능력 향상 정도로 평가하였는데, 최근 10년간 복구비 투입으로 인해 약 19~61%의 방재능력향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복구비 투입으로 인한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효과적인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etho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improvement degree of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y through investment of the recovery cost in areas damaged by heavy rain storms. Pyeongtaek, Gwangju, Pocheon, and Hwaseong cities, where heavy rain damage had most frequently occurred during the last 10 years, were selected as the study areas, and damages and recovery cost data for 10 years were collected. The total rainfall and 5-antecedent rainfall during the damage period were used to define the amount of disaster rainfall. A disaster rainfall-damage equation was established to assess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y before and after the investment of the recovery cost. Then, we calculated virtual damage before the investment based on the equation and obtained the damage reduction benefit by the damage difference from before and after the investment. The ratio of recovery cost and damage reduction benefit was assessed to ascertain the improvement degree of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y. From the results, we found that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y can be improved in the range of about 19 to 61 percent by the investment of recovery costs over the past 10 year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ffects of recovery costs and establish an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plan.

1. 서 론

2. 연구 자료 및 방법론

3. 적용 및 결과

4. 요약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