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시침수 피해가 발생하였을 경우, 비구조적 측면의 대책으로써 도시공간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도시계획시설의 방재회복력 효과를 분석하였다. 회복력의 4가지 기능적 특성인 내구성, 대체성, 자원 동원력, 신속성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구조의 의사결정 시스템(Analytic Network Process, ANP)을 적용하여 도시계획시설의 방재회복력에 대하여 상대적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방재시설이 가장 높은 회복력을 나타냈으며, 그 뒤로 공간시설, 교통시설, 공공⋅문화체육시설, 환경기초시설, 보건위생시설, 유통 및 공급시설의 순으로 점차 회복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도시침수 위험지역에는 방재회복력이 높은 시설을 우선적으로 계획⋅설치하여야 하며, 침수로부터 안전한 지역에는 방재회복력이 낮은 시설을 계획⋅설치하여 회복력을 높이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on the resilience from disaster was analyzed with the focus on urban space as a non-structural measure against urban flood damage.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evaluating relative values using a decision-making system―analytic network process (ANP)―with the network structure based on the four functional features of recovery: robustness, redundancy, resourcefulness, and rapidity.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disaster-prevention facilities showed the highest recovery efficiency followed by space, traffic, public-cultural-athletic, environmental, health and sanitary, and distribution and supply facilities, in respective order. Therefore, facilities with high recovery efficiency should be primarily planned and installed in areas that are vulnerable to urban flood damages. In addition, facilities with less recovery efficiency should be planned in areas that are relatively safe from flooding in order to increase the overall recovery efficiency to minimize damage from flooding.
1. 서 론
2. 연구 방법
3. 분석 및 결과고찰
4.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