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도시환경디자인 개선을 위한 공공디자인 활성화 방향연구

A Study on Public Design Revitalization for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 Design

  • 66
148060.jpg

본 연구는 21세기 국가 및 도시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신성장육성산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공공디자인 사업들 중 성공사례를 선정ㆍ분석하여 공공디자인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범위를 공간적ㆍ내용적ㆍ시간적 범위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자 한다. 우선 공간적 범위는 공공디자인의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내용적 범위는 도시공공디자인 사업의 성공사례를 분석ㆍ하는 겄으로 시간적 범위는 공공디자인 사업의 적극적으로 추진된 2000년부터 현재까지로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수행 결과, 공공디자인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우수한 디자인 자원을 기반으로 건축물 등 구체적인 관리대상을 선정하여 정부 중심의 개선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to revitalize public design by selecting and analyzing successful cases of the public design projects that are promoted as a new growth project for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untry and city in the 21st centur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efficiently, the scope of the study was divided into spatial, contents and time scopes to set the following. The spatial scope was set as Gyeonggi province that is showing good performance in public design. The contents scope was set as analyzing the successful cases of urban public design projects. The time scope was set from year 2000 when public design project was actively promoted to the pres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government-oriented improvement strategies are being adopted by selecting the right object to be administered such as buildings, based on the existing superior design resources for revitalizing public design.

Ⅰ. 서론

Ⅱ. 공공디자인에 관한 이론적 논의

1. 공공디자인의 개념

2. 공공디자인의 영역과 대상

3. 선행연구의 검토

Ⅲ. 공공디자인 사례분석

1. 옥외광고물 디자인

2. 버스정류장 디자인

3. 사례분석의 함의

Ⅳ.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