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권역별 백화점 선택에 관한 소비자 행태분석

A Study on the Choic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Behaviors for Department Stores in Capital Region

  • 32
148100.jpg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백화점 선택과 관련하여 백화점의 내부 환경과 외부환경에 관한 속성변수로 권역별 백화점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특성을 파악하고, 백화점 선택 시 고려요소를 요인분석을 통해 몇 가지 공통요인으로 묶고, 추출된 공통요인을 근거로 권역별 백화점 선택에 관한 소비자 행태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소비자 행동특성에있어, 이용빈도, 소비금액, 이용목적, 구입물건, 교통수단, 출발지, 체류시간 등이 권역별 백화점마다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품, 부대시설, 상권, 매장시설, 접근성 등 5개의 공통요인을 추출해 낼 수 있었다. 분산분석 결과 상품요인과 상권요인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부대시설, 매장시설, 접근성요인에 대해서는 백화점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ference of consumers to the choice attributes of department stores by using th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actor analysis, ANOVA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of the consumers to the choice attributes of the seven department stores(i.e., Kwanak, Kangnam, Ilsan, Incheon, Jamsil, Nowon, Cheongryangri, Mia, Starcity, Bundang, Bupyeong, Anyang, Yeongdungpo and Main Store of the Lotte Department Store in Seoul. There exis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tores in the factors such as commodity and trade area concerning to the consumers preferenc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tores were found in the other factors with regard to the preference: in the factor of subsidiary facilities between Kangnam Store and Kwanak Store; in the factor of storeroom facilities between Kwanak Store and Main Store, and between Kwanak Store and Jamsil Store; in the factor of accessibility between Nowon Store and Cheongryangri Store.

Ⅰ. 서 론

1. 연구목적

2. 연구범위와 방법

Ⅱ. 선행연구의 검토

Ⅲ. 백화점 선택에 관한 소비자 행태

1. 백화점별 소비자 행동특성

2. 백화점 선택시 고려요인

Ⅳ. 백화점별 선택요인의 차별성

1. 요인점수

2. 분산분석

3. 사후검정

Ⅴ.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