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이주 어머니(migrant mother)의 자녀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Educational Experience for Children as a Migrant Mother: focused on the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Southeast Asia

  • 203

이 논문은 결혼이주여성의 삶과 그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자녀 교육에 대한 경험을 탐구하고, 결혼이주여성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들의 생활세계 속에서 나타나는 경험의 의미를 해석하여 다문화 사회에서의 공존을 위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귀화자의 비율이 높은 베트남 출신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출신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여 개인적 삶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소수자인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정책과 다수인 정주민들에게 필요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 출신의 결혼이주여성 1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인터뷰의 내용을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교육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1) 자녀 교육에 대한 열망, 2) 모국어와 한국어 사이에서의 갈등, 3) 가치관의 차이로 남편과 대립, 4) 차별에 대한 두려움, 5) 공감대를 가진 커뮤니티의 결핍, 6) 자녀를 위한 전문적인 교육의 필요, 7) 다문화 사회와 정책에 대한 요구 등의 경험 유형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사회로 전환된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구성원들과 이에 대한 교육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사회 전반에 걸친 ‘다문화’에 대한 역사적・사회적・문화적・정치적 논의 없이 ‘다문화’를 정책적 수단의 도구로 사용한 결과, 다문화에 대한 왜곡된 시선이 있을 수밖에 없게 되었다. 결혼이주여성이 이주 어머니(migrant mother)로서 한국 사회의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일종의 인구학적 대안으로 나타나는 것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필요하다. 결혼이주여성의 이야기를 경청함으로써 사회적 인식과 태도가 전환된다면 타자에 대한 윤리성이 실천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s education with the greatest inter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experiences in marriage immigrant women through their stories and to explore coexistence in multicultural society. In particular, it conducts qualitative research focusing on Southeast Asian marriage immigrant women, especially those from Vietnam who have a high percentage of naturalized persons, to understand their personal lives in depth and to understand the policies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social minorities and weak people, I would like to suggest the transition of social awareness. For the study, twelve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Cambodia, Thailand, the Philippines and Vietnam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spiration for children’s education, 2) conflicts between mother tongue and Korean, 3) opposition with husbands due to differences in values, 4) fear of discrimination, 5) lack of community, 6) needs for professional education for children, 7) social policy for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Korean society tha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members and their education are essential. However, as a result of using multiculturalism as a policy tool without the historical,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debate on multiculturalism throughout society, there has been a distorted perspective on multiculturalism. It is necessary to have a critical view of marriage migrant women as migrant mothers as a sort of demographic alternative for resolving the low fertility and aging phenomenon of Korean society. If the social awareness and attitude are changed by listening to the story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 ethics of others will be practiced.

I.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설계

Ⅳ.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교육 경험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