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노년층 씹기 기능과 관련 정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Chewing Function, Chewing-Related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DOI : 10.16884/JRR.2019.23.2.107
  • 264

본 연구에서는 정상 노화 과정의 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씹기 기능, 씹기 관련 삶의 질-정서, 그리고 우울에 대해 조사하고, 변수 간 영향 관계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삼킴 평가 프로토콜(Swallowing Monitoring & Assessment Protocol, SMAP) 연구 참여자 중 일대일 설문을 통해 주관적 씹기 기능, 씹기 관련 삶의 질-정서,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평가를 모두 수행한 65세 이상 일반 노인 355명이었다. 연구결과, 노인들의 주관적 씹기 기능이 저하 될수록 씹기 관련 삶의 질이 저하되었다. 씹기 기능과 우울 사이에서 삶의 질은 부분 매개 역할을 하였으며 삶의 질의 저하에 따라 우울 지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씹기 문제는 ‘즐거움이 줄었다’, ‘우울하다’, ‘속상하다’, ‘스트레스를 받는다’, ‘사람들과의 모임을 꺼린다’와 같이 씹기 관련 정서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씹기 문제와 우울 간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의 결과는 씹기 관련 삶의 질을 관리하고 우울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chewing function, chewing related quality-of-life-emotional, and depression among in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e util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analyze the effect among these variables. A total of 355 normal elderly completed the Swallowing Monitoring & Assessment Protocol (SMAP) and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ubjective chewing function wa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emotional, which was also related with depression. Additionally, in the path analysis, the quality-of-life-emotional partially mediates the path between subjective chewing function and depression. From the results, we confirmed that chewing problems could affect chewing related emotions such as ‘less pleasure’, ‘upset’, ‘depressed’, and ‘stressed’. It is also expected the results to be utilized as preliminary data to manage and to minimize on effect in the elderly who either present with chewing problems or are at risk for depressio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 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