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299.jpg
KCI등재 학술저널

소방공무원의 성인애착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Job Stress of Fire Officers

  • 93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성인애착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근무하는 현직 소방공무원 4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0을 활용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인애착의 불안정 애착과 직무 스트레스는 정적 상관관계, 성인애착의 불안정 애착과 자아탄력성을 부적상관관계,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은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은 성인애착의 불안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며, 회피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자아탄력성의 중요성과 소방공무원의 직업적 특성을 고려한 자아탄력성을 증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개인의 심리, 정신적 인 요인도 같이 고려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ego - 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job stress of fire officers,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job stress reduction of fire office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480 fire offic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 do,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stability attachment and job stress in adult attachme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stability attachment and ego - resilience in adult attachment,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go - resilience and job stress. Adult attachment and ego -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tress. Ego - resilience was found to full mediate the effect of anxiety of adult attachment on job stress and to partial mediate the effect of avoidance on job stres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improve ego - resilience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ego - resilience and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fire officer. This means that the psych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individual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order to reduce the level of job stress of the fire service personnel.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토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