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309.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우리나라 기업유형별 개방형 혁신 활동의 특성 및착근성에 관한 연구

  • 77

기술 또는 제품의 개발역량을 강화하고 기술개발 투자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서 개방형 혁신의 중요성이 부각 됨에 따라 기업에서 개방형 혁신 전략을 도입하고 있다. 개방형 혁신은 기업의 혁신활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외부 지식을 조달하여 활용하거나 자사의 지식을 외부 시장에 내보내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의 활동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혁신 활동이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느정도 자리잡아 가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 하는 것이다. 기술개발 활동에 있어 우리나라 기업의 전반적인 모습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 마이크로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난 10여년간(2007-2017)의 시계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의 투자와 활동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개방형 혁신 활동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중소기업에서더 낮게 나타났다. 관련 활동이 지속성을 보이기 보다는 수요에 따라 단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방형 혁신 활동이 기업의 혁신과정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정책과 수요에 기반한 유연한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네트워크 기반 및 협력 Pool 구축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Ⅰ. 서론

Ⅱ. 개방형 혁신의 개념 및 유형

Ⅲ. 연구설계

Ⅳ. 우리나라 기업의 개방형 혁신 활동의 특징 및 착근성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