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320.jpg
KCI등재 학술저널

高麗時代儒城縣의 道路와 性格

Characteristics of Roads of Yuseong-Hyun in the Koryo Dynasty

  • 25

유성은 백제시대에 웅주의 노사지현이었으나, 신라 경덕왕대에는 명칭을 유성으로 고쳐 비풍군에 속하였고, 고려시대에는 다시 공주의 영현으로 편제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유성 일대에는 백제시대부터 고려시대에 이르는 많은 수의 유적이 확인되었는데, 특히 대전 상대동 유적에서는 고려시대 대형 건물지인 SD1·2호 건물지를 비롯하여 다수의 건물지가 조사됨에 따라 건물지의 성격과 역사적 중용성에 관심이 집중되었을 뿐 도로유구에 대해서는 건물지를 연결하는 역할로만 인식되었다. 그러나 최근 상대동 유적과 지근거리에 위치한 대전 원신흥동 일대에서 통일신라시대 말에서 고려시대에 조성된 도로유구가 다수 확인됨에 따라 당시 유성현을 중심으로 한 교통망의 형태와 도로의 성격, 활용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다.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도로유구와 조선시대 고지도, 일제강점기인 1910년대 제작된 지형도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고려시대 유성현의 교통로는 진잠과 연산에서 유성을 경유하여 회덕 연기로 이어지는 남북대로와 공주에서 유성을 경유, 회덕과 진잠으로 연결되는 동서대로로 구분되며, 자연·지리적으로 유성일대에는 갑천, 진잠천 등 여러 수계가 형성되어 있어 당시 유성현은 공주와 회덕, 연산, 진잠, 연기를 연결하는 교통상에 요지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기록에 의하면, 공주에서 관할하는 鄕·所·部曲이 대부분 유성현에 밀집되어 있으며, 원신흥동 일대에서는 생산과 관련된 유적들이 조사된 바 있어 소와 관련된 시설이 운영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고려시대 유성현은 교통의 요지로서 육로와 수로를 활용하여 所에 대한 수취와 관리, 생산품을 공주와 개경으로 운반하는 수취체제가 운영되었으며, 이러한 유성현의 사례를 통해 고려시대 所에 대한 수취와 운영에 대한 일면을 살펴볼 수 있다.

Yuseong was Nosaji Hyun in Baekje period, but the records show that in the time of Gyeongdeok king of Silla Dynasty, it belonged to Bipung Gun being called Yuseong. A large number of remains from the Baekje to Goryeo dynasties were found in the Yuseong area. Especially, in the remains of Sangdae-Dong of Daejeon, many buildings including the SD1.2 building site of Koryeo Dynasty were surveyed such that people s interests were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buildings but the roads were only recognized as a role to connect the building sites. However, recently, many road features have been identified in Wonshinheung-Dong of Daejeon, which were built from end of the Unified Silla period to Koryo Dynasty, therefore, we may investigate the forms,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such roads as well as the traffic network surrounding Yuseong Hyun at that time. The road features identified by the excavation surveys and old map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geographical maps produced in 1910, Japanese colonial period show that the traffic routes of the Koryeo Dynasty are divided into the South-North Great Road reached to Hoeduk and Yeongi via Jinjam, Yeonsan and Yuseong and East-West Great Road reached to Hoeduk and Jinjam via Gongju and Yuseong, while several water systems such as Gapcheon and Jinjam Cheon were formed in Yuseong area in both natural and geographic aspects that we may easily know that Yuseong Hyun at that time was the important traffic point connecting Gongju, Hoeduk, Yeonsan, Jinjam and Yeongi.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cords, Hyang, So, Bu, and Gok, which are under the jurisdiction of Gongju were mostly concentrated in Yuseong Hyun, remains related to production were surveyed in Wonshinheung-Dong area that it shows that the facilities related to So were operated in that time. Therefore, Yuseong Hyun in Koryeo Dynasty operated the collec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So, which transferred the products to Gongju and GaeGyeong utilizing the land and waterway as the main point of transportation, we may investigate an aspect of collection and operation for So through the case of Yuseong Hyun.

Ⅰ. 머리말

Ⅱ. 유성지역 도로유구의 조사현황과 구조

1. 조사현황

2. 도로유구의구조와 이용

Ⅲ. 유성현을 중심으로 한 도로의 성격

1. 지도상에서확인되는 유성현의 도로

2. 유성현의교통로와 성격

Ⅳ. 맺음말

로딩중